한화케미칼이 태양광사업에서 미국과 중국의 무역장벽에 가로막힐 위기에 몰렸다.
미국정부와 중국정부가 올해 말 한화케미칼이 생산하는 태양광제품에 반덤핑관세 부과여부를 발표하기로 했는데 이 결과에 따라 2018년 태양광부문의 실적이 갈릴 것으로 보인다.
|
|
|
▲ 김창범 한화케미칼 사장. |
11일 발표된 증권사 실적전망을 종합하면 한화케미칼이 태양광부문에서 올해 하반기에 연결기준으로 260억~470억 원 정도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거나 소폭 늘어나는 수치지만 올해 상반기와 비교하면 태양광부문 영업이익과 비교하면 비슷하거나 최대 80% 늘어나는 것이다.
한화케미칼 관계자는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미국정부가 올해 말 외국 태양광제품에 무역규제를 가할지 발표하면서 이때까지 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돼 태양광제품을 미리 사놓는 수요가 발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불확실성을 대비한 수요 덕분에 하반기에 실적이 늘어날 것으로 본 것이다.
한화케미칼이 태양광부문에서 2018년에도 올해 하반기처럼 흑자기조를 이어갈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미국정부와 중국정부가 올해 말 한화케미칼의 태양광제품을 놓고 어떤 무역규제를 가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한화케미칼은 태양광부문 계열사 한화큐셀을 통해 미국에 태양광모듈과 셀 등을 판매하고 있는데 미국정부가 한국뿐 아니라 중국, 말레이시아를 상대로 긴급수입제한조치를 발동할지 여부를 고려하고 있다.
미국정부는 9월22일까지 한국태양광기업의 저가공세 등 때문에 미국의 태양광산업이 피해를 입었는지 판정하고 11월13일에 긴급수입제한조치의 최종결정을 내린다.
한화큐셀 관계자는 “미국정부가 중국과 한국, 말레이시아의 태양광기업을 상대로 반덤핑관세를 물릴지 수입물량 제한조치를 취할지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미국정부가 한국의 태양광기업 등에 반덤핑관세를 크게 물리든 수입물량 제한조치를 취하든 한화케미칼이 2018년 실적에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미국에서 한화큐셀이 판매하는 태양광제품의 가격인상을 부추겨 판매물량 감소나 수익성 타격 등 부정적인 결과를 불러올 수 있다. 한화큐셀은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수출에서 미국비중이 30~40% 정도다.
중국정부가 올해 말 한국산 폴리실리콘을 놓고 반덤핑관세를 물릴지 여부를 결정짓는 것도 한화케미칼 태양광부문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
|
|
▲ 남성우 한화큐셀 사장. |
중국정부는 한화케미칼과 OCI 등 한국기업이 중국에서 덤핑행위를 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올해 11월 정도 반덤핑관세율을 높일지 발표하기로 했다. 한화케미칼은 중국에 폴리실리콘 생산량의 60~70%를 수출하고 있어 중국정부가 반덤핑관세율을 높이면 수익성에 타격을 받는다.
다만 미국정부와 중국정부가 한화케미칼에 가하는 무역장벽이 높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정부와 중국정부가 한화케미칼 등 외국 태양광기업에 무역규제를 가할 경우 오히려 태양광제품 가격상승에 따른 수요부진으로 자국 태양광산업이 위축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친환경산업 전문매체 클린테크니카 등에 따르면 아비게일 로스 호퍼 미국태양광산업협회 CEO는 미국정부의 조치에 반발하면서 “태양광전지의 가격을 올리면 미국태양광산업이 활기를 띠며 일자리가 창출된다는 생각은 터무니없다”며 “오히려 태양광전지 가격 상승으로 태양광수요가 줄어들어 수많은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주장했다.
이충재 KTB증권 연구원도 “중국 내 폴리실리콘 수요를 감당하려면 한국기업이 생산하는 폴리실리콘 물량이 꼭 필요하기 ?문에 한국산 폴리실리콘에 물리는 반덤핑관세를 크게 물리면 자충수를 놓는 셈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