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재벌그룹의 부채구조가 취약하고 내부거래가 많아 그룹 전체의 부실화를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일 김동환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발표한 ‘기업집단의 출자·부채구조와 사업재편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4월1일 기준 국내 47개 민간 대기업집단 가운데 연결 부채비율이 200%를 넘는 기업집단은 19곳으로 전체의 40.4%를 차지했다.

  금융연구원 "대기업집단 47곳 중 40%가 부채비율 200% 넘어"  
▲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연결 부채비율이 300%를 넘는 기업집단도 13곳(27.7%)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그룹은 연결 부채비율이 1091.4%로 47곳 대기업집단 가운데 가장 높았다.

OCI그룹은 649.1%, 한화그룹은 645.1%,금호아시아나그룹은 552.2%, 한진그룹은 412%, 현대중공업그룹은 323.1%였다.

5대그룹에서는 롯데그룹이 290.1%로 부채비율이 가장 높았고 SK그룹이 196.4%, 현대차그룹이 180%, LG그룹이 133%, 삼성그룹이 99.1%로 뒤를 이었다.

47곳 기업집단 가운데 현대그룹(51.3%), 현대중공업그룹(47.1%), 하이트진로(40.1%), 한국가스공사(66.2%), 금호석유화학그룹(45.5%) 등은 차입금 의존도가 45%를 넘었다.

특히 현대그룹, OCI그룹, 금호아시아나그룹, 동부그룹, 현대중공업그룹 등의 대기업집단은 연결 부채비율이 평균값인 219.53%를 넘어서고 내부지분율은 43.75%를 밑돌아 부채구조와 출자구조가 모두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대기업집단의 내부거래 비중도 높았다.

47곳 민간 기업집단 소속 계열회사 1247개의 총매출액 대비 내부거래 비중은 11.7%, 거래 금액은 159조6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1046개 비상장사의 경우 내부거래 비중이 22.1%에 이르렀다.

내부거래 금액이 큰 집단은 SK그룹(33조3천억 원), 현대차그룹(30조9천억 원), 삼성그룹(19조6천억 원) 등이었다.

5대그룹의 내부거래 금액 합계는 112조2천억 원으로 전체 대기업집단 내부거래의 70.3%를 차지했다.

전체 내부거래 가운데 보험거래나 유가증권 매수 등 금융거래가 96%를 차지했고 금융거래 중에서는 계열사 주식 및 회사채 인수가 98%에 이르렀다.

김 연구위원은 “금융계열사를 동원한 비금융계열사 부당 지원이 우려되는 부분”이라며 “계열사 간 내부거래는 시장경쟁을 저해하고 효율적 자원 배분을 왜곡시킬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연구원 "대기업집단 47곳 중 40%가 부채비율 200% 넘어"  
▲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김 연구위원은 또 “자체적으로 실적개선이나 외부자금 조달이 어려운 계열사에게 지주회사나 다른 계열사가 자금을 지원해 존속하도록 하는 것은 공정한 시장경쟁을 가로막고 부실계열사에 편법·부당지원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부실계열사 지원으로 그룹 전체로 부실이 확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런 폐혜를 막기 위해 지주회사나 금융계열사의 의결권 행사를 제한하거나 출자지분을 처분하는 등 출자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다만 보고서는 금융당국이 기업의 의결권 행사를 제한하거나 출자지분을 처분하도록 하기보다는 기업이 자발적으로 기업결합을 해소하는 등 사업재편을 유도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김 연구위원은 “자발적으로 사업재편을 하는 기업에 원샷법을 적용하는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며 “원샷법이 사업재편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기 위해서는 적용대상 기업의 범위를 넓히는 방안 등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