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과 홍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선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물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주승용 국민의당 의원은 22일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새정부의 물 관리 정책전환, 어떻게 해야 하나’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 |
||
▲ 주승용 국민의당 의원. |
발제자로 나선 한무영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물 관리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교수는 “우리나라는 그동안 강우 및 지형 조건 등을 고려하지 않고, 무비판적으로 외국의 물 관리정책을 도입했다”며 “지금과 같은 물 관리정책을 유지한다면 기후변화 가뭄, 폭염 등에 대비할 수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 교수는 우리나라는 비가 일정하게 오는 서양과 다르게 매년 가뭄과 홍수가 반복되고 국토의 70%가 산지로 돼 있어 많은 비가 내리면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때문에 선진국의 물 관리정책이 우리나라에사 역효과를 불러 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새로운 물 관리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며 △우리 강수특성에 맞는 물 관리 △다목적 분산형 빗물 관리 △생산형 수요관리 △모든 물자산의 관리 △4차 산업혁명을 활용한 관리 △국가물관리위원회 신설 등을 제시했다.
박재우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지하수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 교수는 “현재까지의 지하수 정책은 너무 오염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며 “지하수 활용은 현재와 같이 무계획적인 소규모 관정 혹은 가뭄대비용 대체수자원이 아닌 지표수에서의 유역관리와 같이 지하대수층 위주의 큰 규모의 계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