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보유자산을 축소할 경우 한국 외화유동성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13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5월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한 금융통화위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보유자산을 줄이면 미국 국채금리가 오르면서 아시아 신흥국의 통화가치 하락과 증시 투자자금 유출 등으로 확산될 수 있다”며 “자본의 급격한 유출 가능성은 낮지만 외화유동성면에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미국 연준은 13~14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열어 6월 미국 기준금리를 결정하는데 금리를 한 차례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앞두고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연방기금(FF) 금리선물시장에서 6월 금리인상 확률은 95%로 높아졌다.
시장의 관심은 기정사실화된 금리인상보다 미국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계획에 쏠려있다. 연준은 올해 안에 4조5천억 달러 규모의 보유자산을 점진적으로 줄이기로 했다.
연준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단기금리에서 장기금리로 파급되는 시간이 소요되는 것과 달리 보유자산 축소는 장기금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미국 장기금리가 더 빨리 오를 수 있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보유자산을 매각하는 시기와 규모와 관련해 어떤 발언을 내놓는지에 따라 시장에 끼치는 영향이 상당할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다.
이슬비 삼성증권 연구원은 “연준은 예측 가능하고 점진적인 방식으로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며 “이번 회의에서 보유자산 축소와 관련된 발언이 나올 가능성이 있지만 당장 금융시장에 영향을 주는 발언이 나올 가능성은 낮다”고 예상했다.
한 금융통화위원은 “국내 장기금리가 이에 영향을 받아 추가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며 “최근 나타나고 있는 국내 장단기금리차 확대가 경기회복 기대감을 반영한 것인지 등을 면밀히 따져 장기금리의 상승압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금융통화위원들은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 확장적 재정정책에 따라 통화완화정책을 지속할 필요성이 낮아진 데 대체로 동의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전날 “경제상황이 뚜렷이 개선될 경우에 완화적 통화정책을 조정할 가능성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힌 것과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 금융통화위원은 “확장적 재정정책은 성장세 회복을 지원하기 위한 통화정책 완화기조의 필요성을 줄이는 요인”이라며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도 금융리스크를 줄여 한국은행이 통화정책을 거시경제상황에 맞게 신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여지를 넓혀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다른 금융통화위원은 “민간소비 회복에 앞으로 시간이 필요한 데다 아직 GDP갭이 마이너스 추세를 이어가고 있는 만큼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기조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GDP갭이란 잠재 경제성장률과 실질 경제성장률의 차이인데 마이너스 값을 나타내면 경기침체를, 플러스 값을 나타내면 경기과열을 뜻한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