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들어 통신요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면서 주식시장에서 통신업종에 대한 투자자의 눈높이가 낮아지고 있다.
통신회사들이 요금인하 요구의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 신성장동력 발굴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
|
▲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왼쪽부터)과 황창규 KT 회장,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 |
김장원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5일 “통신업종은 성장보다 통신요금 부담을 낮추는 정책적 이슈가 중심”이라며 통신업종의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조정했다.
김 연구원은 “통신기본료 인하를 대통령 공약에 넣은 이상 집행과정에서 처음 언급된 만큼의 효과는 아니더라도 통신요금 부담을 덜기 위한 시도가 강해질 것”이라며 “결과도 중요하지만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 내내 투자심리를 불안하게 할 수 있다”고 파악했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1일 미래창조과학부 업무보고에서 기본료 폐지를 포함한 통신요금 감면방안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미래부가 두 차례의 업무보고에서 기본료 폐지 불가 의견을 냈음에도 통신요금을 낮추려는 새 정부의 의지가 강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연구원은 “통신사업에서 규제는 항상 존재하는 숙명 같은 존재”라며 “필수재 성격이 강해지다 보니 이용자와 정부는 통신요금에 민감해졌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김 연구원은 “통신요금은 정부·이용자·사업자에게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일방적인 결정은 어렵다”면서 “결국 제안과 제안이 거듭되면서 조율을 거쳐 합리적인 대안이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원금 분리공시제도가 도입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김 연구원은 “이용자의 부담을 낮추겠다는 결과만 놓고 본다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논의될 가능성이 높다”고 바라봤다.
통신산업의 매출 대부분이 가입자와 통신요금에 따라 결정되고 있는 만큼 새 성장동력을 발굴해 규제리스크를 낮출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됐다.
김 연구원은 “선거가 있는 한 통신요금 인하 이슈는 반복될 것”이라며 “네트워크 사용료 개념의 통신사업구조에서 벗어날 수 없는 이슈로 수익원 다변화를 통해 규제 요인을 줄이는 방법밖에 없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