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에서 전국경제인연합회 위상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전경련은 지난해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에 연루돼 회원사들이 줄줄이 빠져나가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기업연합회로 이름을 바꾸기로 하는 등 혁신안을 추진하면서 회원사들에 다시 러브콜을 보내고 있지만 최근 정치환경 변화는 전경련에 불리하게 전개된다.
|
|
|
▲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
12일 업계에 따르면 새 정부는 전경련이 아닌 대한상공회의소를 경제정책 파트너로 삼을 것으로 여겨진다.
문재인 정부 첫날인 10일 발표된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기구표(안)에 전경련의 이름을 찾을 수 없었던 것이 단적인 예다. 대한상의와 중기중앙회는 유관기관 명단에 포함됐으나 전경련은 한국경영자총협회와 함께 명단에 들지 못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전경련은 해체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해왔다. 문재인 후보 캠프의 비상경제대책단이 지난달 경제단체 초청 간담회를 열었을 때 전경련이 배제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4월14일 대한상의를 방문해 “전경련의 시대는 지나갔다”며 “건설적인 협력파트너가 될 수 있는 대한상의와 대화하겠다”고 밝혔다. 새 정부에서 전경련보다 대한상의에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전경련은 허창수 회장과 문재인 대통령이 경남고 동문이라는 점에 기대를 걸기도 했으나 정부 출범 이후에도 기조는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경련의 생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경련은 3월 혁신안을 발표하고 조직과 예산을 대폭 감축하기로 했다. 4월부터는 14년만에 전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진행하고 있다. 조만간 정리해고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국정농단 사태 이후 삼성·현대차·SK·LG의 4대 기업이 전경련을 탈퇴하면서 타격이 컸다. 권태신 전경련 상근부회장은 혁신안을 발표하면서 “4대 그룹이 최대한 빨리 돌아왔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나타냈다.
하지만 새 정부에서 4대 기업의 전경련 복귀는 더욱 힘들어졌다는 관측이 많다. 문재인 대통령은 4대 기업을 재벌개혁 본보기로 삼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이런 상황에서 굳이 4대 기업이 정부에서 소외된 전경련에 복귀를 선택해 눈밖에 날 필요는 없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더욱이 대한상의는 3월 대기업위원회 설치 계획을 내놓았다. 대기업들의 의견을 대변하는 위원회를 구성하겠다는 것으로 사실상 전경련의 역할을 대신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4대 기업 입장에서 전경련 복귀 대신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있는 셈이다. 대한상의가 앞으로도 정부와 소통창구 역할을 할 경우 4대 기업도 대한상의를 통해 목소리를 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만약 4대 기업이 전경련에 복귀하지 않고 대한상의 대기업위원회 참여를 결정한다면 전경련의 입지는 더욱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전경련 회원사는 지난해 600개가 넘었으나 국정농단 사태로 올해 2월 정기총회 시점에는 531개로 줄었다. 허 회장이 유임하고 혁신 계획을 밝힌 후에도 회원사 숫자는 더욱 줄어 현재 515개로 알려졌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