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강릉 산불이 재발화한 2017년 5월8일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대관령 산기슭이 잿더미로 변했다. <뉴시스> |
강원도 강릉과 삼척에서 산불이 3일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대응에 미흡한 점이 드러나면서 국가재난시스템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산불대응 관계장관회의를 열었다.
황 총리는 “국민안전처 등 관계부처는 특별재난지역에 준하는 수준으로 주거시설과 구호물자 등을 신속하고 충분하게 지원하라”고 지시하고 “국민안전처와 국방부, 산림청 등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는 군부대와 공무원 등 산불진화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산불을 진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산불은 6일 오후 3시에 일어나 민가 34채와 여의도 넓이 절반이 넘는 면적을 태웠다. 8일 오후 3시 기준으로 진화율은 70%다.
산불 인근 주민들은 산불 상황을 적시에 알 수 없다는 점에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제때에 대피할 수 없다는 것이다.
황 총리는 초기대응에 미흡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번 사건 발생을 보고받은 후 긴급지시를 내렸지만 그 지시는 7시간이 지나서야 대외적으로 알려졌다. 이번 긴급지시는 정확히 언제 했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지난해 9월 경북 경주시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도 긴급지시는 지진이 일어난 뒤 2시간47분이 지나 내려졌고 사건을 수습하는 데 늦어졌다는 비판이 나왔다.
다만 황 총리는 지진 때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소집하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회의를 열어 산불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내놨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은 7일 산불대책지원본부를 가동했다. 산림청의 중앙사고수습본부와 강원도 및 경상북도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의 대책 마련을 돕고 있다.
그러나 박 장관도 산불이 일어난 후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되지 않자 여론의 뭇매를 피하지 못했다. 긴급재난문자는 지난해 지진이 일어났을 때도 대피에 도움이 되지 않으면서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이승우 국민안전처 대변인은 “긴급재난문자는 안전처가 보내지만 문자를 보낼지는 주무 기관인 산림청과 강릉시가 판단한다”며 “안전처엔 아무 요청이 없었다”고 말했다.
이를 놓고 산림청은 6일 밤 9시 산불위기경보를 ‘심각’으로 올린 뒤 문자 발송을 검토했지만 이미 강릉시가 주민들을 대피하도록 한 상황이어서 보내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산림청의 소방헬기 운영 방식도 문제로 떠올랐다. 산림청이 보유한 45대의 헬기는 산불이 나면 즉시 투입할 수 있는데 전국에 흩어져있어 초기에 불길을 잡기 어렵다. 산림청이 보유하지 않은 소방헬기 116대는 지방정부 등에 산림청이 요청해야만 출동하게 돼있다.
산림청 등 산림을 담당하는 관계당국은 이날 일출과 동시에 헬기 13대와 2천여 명의 진화인력을 투입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9일 동해안 지역에 5~10mm가량의 비 소식이 있어 진화에 다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