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한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았지만 통상압박을 강화하면서 환율변동성은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4월 환율조작국 지정 이슈가 끝났지만 강세 요인과 약세 요인이 혼재되어 있어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은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 원/달러 환율은 17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전거래일보다 2.3원 떨어진 1137.7원으로 거래를 마쳤다.<뉴시스> |
미국 재무부는 4월 환율보고서에서 어떤 국가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고 중국과 한국, 일본, 대만, 독일, 스위스를 관찰대상국으로 유지했다.
선성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기존 기준으로 중국 등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려면 기준 자체의 수정이 필요했다”며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뒤 행정부 관료 임명 등 행정부 정비가 늦어지면서 변화를 꾀할만한 시간적인 여유가 없었다”고 파악했다.
10월에도 한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가능성은 낮은 만큼 환율조작국 지정과 관련된 불안감은 앞으로 원/달러 환율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선 연구원은 “환율조작국 지정 이슈는 주요 교역 대상국들이 미국 제품 수입확대에 나서도록 압박하는 카드일 뿐 실제 행동으로 연결되기 어려울 것”이라며 “결국 앞으로 환율조작국 지정 이슈는 미국의 통상압력 수단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중국과 한국 등 대미무역 흑자국을 상대로 한 통상압박은 더욱 강화하면서 환율 변동성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재무부는 환율보고서에 주요 교역대상국의 경상흑자와 미국의 경상적자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방향을 담았다.
박형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환율조작국 지정 이슈는 더 이상 원/달러 환율의 하락을 이끌지 못하고 원/달러 환율은 점진적으로 상승할 것”이라며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앞으로 통상압박을 강화하고 달러화 약세를 유도하기 위해 구두개입을 자주 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환율 변동성은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상현 연구원은 “환율조작국 지정과 관련된 불안감이 해소되고 북핵 리스크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은 원/달러 환율의 상승요인”이라며 “다만 국내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북핵 리스크가 장기화될 가능성은 낮은 만큼 추세적인 상승을 보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원/달러 환율의 상승과 하락 요인이 혼재된 상황에서 미국의 눈치를 보느라 외환당국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워진 점도 환율변동성을 확대할 요인으로 꼽혔다.
원/달러 환율은 17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전거래일보다 2.3원 떨어진 1137.7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