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새 스마트폰 ‘갤럭시S8’이 비싼 판매가격 탓에 흥행을 낙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에 따라 갤럭시S8에 새로 적용하는 디스플레이 변화에 소비자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가 판매량을 가를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갤럭시S8, 비싼 가격 탓에 흥행 낙관 어려워  
▲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4일 “갤럭시S8의 시장 기대감은 높지만 판매전망은 불확실하다”며 “가격이 높아지는 데다 하반기에 아이폰 신제품과 경쟁도 예상된다”고 바라봤다.
 
갤럭시S8의 올해 세계 판매량은 약 4200만 대로 예상했다. 갤럭시S7의 지난해 판매량 추정치인 5천만 대를 한참 밑도는 것이다.
 
유 연구원은 갤럭시S8의 부품원가가 이전작인 갤럭시S7보다 7%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디스플레이가 이전작보다 커지며 메모리반도체의 평균가격도 지난해보다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갤럭시S8은 약 99만 원, 대화면의 갤럭시S8플러스는 111만 원의 가격에 판매될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갤럭시S7의 국내 출고가는 88만 원이다.
 
전면카메라의 화소수가 높아지고 홍채인식기능이 탑재되는 것 외에 하드웨어 변화는 크지 않겠지만 화면을 제외한 부분의 공백을 줄인 새 디스플레이 디자인이 적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가 최근 내놓은 G6에 탑재한 ‘풀비전 디스플레이’와 유사한 디자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유 연구원은 “갤럭시S8의 디스플레이 디자인이 시장의 관심을 가장 크게 받는 요소가 될 것”이라며 “이전작과 디자인을 차별화하는 전략의 성공이 흥행의 최대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애플은 아이폰6에 대화면을 처음으로 적용해 판매량이 이전작보다 크게 늘었다. 유 연구원은 갤럭시S8도 디스플레이 변화로 비슷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삼성전자 스마트폰사업을 담당하는 IM부문은 올해 영업이익 10조9060억 원을 낼 것으로 추정됐다. 갤럭시노트7 단종사태로 타격을 받은 지난해보다 0.8% 증가하는 데 그치는 것이다.

유 연구원은 “갤럭시S8의 판매가 이전작보다 1개월 이상 늦어지며 아이폰 신제품과 경쟁도 더 치열해질 것”이라며 “마케팅비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수익성은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