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고리원전 1호기 영구정지에 대비해 원천해체사업이라는 새로운 기회를 만들기 위해 주력하고 있다.
원전해체사업은 기술력 확보뿐 아니라 지역사회와 갈등관리 역시 중요한데 고리1호기가 있는 부산시의 역할이 주목된다.
|
|
|
▲ 서병수 부산시장. |
3일 업계에 따르면 부산시는 최근 ‘시민중심의 원자력안전대책’을 발표하고 원자력산업을 키워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계획을 세웠다.
시민중심의 원자력안전대책은 고리1호기 영구정지를 계기로 원전해체산업 확대에 대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부산시는 우선 고리1호기가 있는 기장군에 ‘원전해체센터’ 설립을 추진하기로 했다.
원전해체센터는 고리1호기와 앞으로 순차적으로 설계수명이 끝날 고리원전의 안전한 해체를 전담하고 해체공정관리와 해체기업참여 실증 및 기술훈련기능 등을 담당한다.
부산시는 지난해 미래창조과학부가 설립을 주도한 ‘원전시설해체종합연구센터’의 유치를 추진했다.
원전시설해체종합연구센터는 원전해체에 필요한 특수로봇 등 기술력과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2019년까지 사업비 1473억 원, 그 뒤 모두 6163억 원을 투입하기로 한 대규모 사업이었다.
부산시뿐 아니라 울산시 등 8개 지자체가 원전시설해체종합연구센터 유치에 도전했으나 한국수력원자력 의 소극적인 태도 등으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예비타당성 조사결과 사업이 없던 일이 되며 유치가 무산됐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에 설립을 추진하는 원전해체센터는 종합연구센터 같은 연구기관이 아닌 고리원전의 해체작업을 체계적으로 전담할 관리시설”이라며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수원에 지속적으로 설립을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전해체는 원전 가동이 정지된 뒤 짧게는 15년에서 길게는 30년 넘게 걸리는 장기간에 걸친 사업이다.
사용후연료를 인출하고 냉각하는 데 최소 5년 이상 걸리고 그 뒤 방사성물질 제염과 구조물 해체와 부지복원에 최소 10년 이상 걸린다. 토양을 완전히 복원하기까지 30~40년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일본에서 가장 먼저 상업운전을 시작해 가장 먼저 영구정지가 결정된 도카이 원전1호기의 경우 1998년 가동을 멈췄지만 아직까지 해체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원전해체 과정은 안전문제뿐 아니라 원전해체가 끝난 뒤 원전부지 복원방식 등을 놓고도 지역사회와 많은 대화가 필요하다.
원전해체를 경험한 미국 등은 원전해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원전부지를 녹지로 전환했지만 고리원전의 경우 한 지역에 여러 원전이 몰려 있어 녹지전환이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 점에서 시민들의 의견을 듣고 안전을 담보할 원전해체 종합관리시설은 중요한 셈이다.
부산시는 원전해체센터 설립추진 외에 원전해체 전문인력을 기르기 위해 지역대학과 협력을 강화해 원전해체 관련 연구개발(R&D)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국내 최초 원전인 고리1호기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후세에 전하기 위한 ‘원자력역사관’ 건립 등도 추진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원전해체를 진행하는 만큼 해체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해 시민의 불안을 해소할 것”이라며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고 부산시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