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미국 트럼프 정부의 인프라 투자확대의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고 외국인투자자들이 대거 주식을 사들였는데 앞으로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포스코가 보게 될 수혜가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
|
▲ 권오준 포스코 회장. |
이종형 대신증권 연구원은 2일 “국내 철강업체가 미국이 공공기반시설에 투자를 늘려도 제한적으로 수혜를 보는 데 그칠 것”이라며 “외국인이 포스코 등 철강업종 주식을 집중적으로 매수한 것은 철강업종 주가의 위험요인일 수 있다”고 파악했다.
이 연구원은 미국의 철강 소비량이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아 미국 철강수요가 증가해도 세계 철강수요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5년 기준으로 세계에서 미국 철강소비량 비중은 6.7%에 불과해 미국 철강수요가 10%이상 증가한다 해도 세계 철강수요 증가량은 1% 미만에 그친다.
포스코도 미국 트럼프 정부의 공공기반시설 투자에 따른 직접적인 수혜를 보지 못하면서 포스코에 투자한 외국인자본이 빠져나가 주가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연구원은 “철강업종의 외국인 매수는 국내 철강사들이 실질적으로 미국 공공기반시설 사업에 수혜를 입을지를 따져 이뤄진 게 아니다”라며 “철강 등 산업용 소재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기대감이 소멸되면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외국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선 이후 한국 철강업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11월10일부터 올해 2월1일까지 코스피 전체 외국인 순매수는 3조2천억 원인데 이 가운데 35%인 1조1200억 원이 포스코에 집중돼 있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와 반덤핑규제도 한국 철강사업의 악재로 꼽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미국우선주의’를 표방하며 미국을 가로지르는 송유관 건설사업(키스톤과 다코타 송유관사업)을 승인하면서 미국산 철강을 사서 쓸 것을 요구하는 등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펴고 있다.
미국은 2014년에 미국의 철강사인 유에스스틸(US Steel)이 외국산 덤핑 피해 때문에 강관공장 두 곳의 가동을 중단하면서 반덤핑규제를 강화했다. 지난해에는 포스코산 열연강판에 61%의 반덤핑관세 판정을 내리기도 했다.
이 연구원에 따르면 봉 형태의 철강제품인 강관을 제외하고 지난해 한국의 철강재 미국수출량은 256만 톤으로 2년 연속 감소했다. 한국은 2014년에는 300만 톤, 2015년에는 2800만 톤의 철강을 수출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