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스포츠가 롯데그룹에서 받은 70억 원을 급히 돌려준 데에 최순실씨와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이 개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부장판사 김세윤) 심리로 24일 열린 '최순실 국정농단' 7회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정동춘 전 K스포츠 이사장은 "지난해 6월 초 안 전 수석이 정현식 전 K스포츠 사무총장에게 연락해 '롯데에서 입금된 70억원을 모두 돌려주는 게 좋겠다'고 했다"며 "대한체육회로부터 하남 체육관 건립 부지를 장기임대하려 했는데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의 통합 작업으로 업무 추진이 어렵게 됐다는 게 이유였다"고 설명했다.
▲ 최순실씨와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의 재판 증인으로 나온 정동춘 K스포츠재단 이사장이 24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오전 재판 참석을 마치고 법원을 나서고 있다. <뉴시스> |
2016년 6월 롯데는 K스포츠로부터 70억원을 돌려받고 얼마 지나지 않아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았다. 이를 놓고 검찰의 수사 정보를 사전에 입수한 청와대가 나중에 문제가 될 것을 우려해 70억 원을 돌려주라고 지시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정 전 이사장은 "재단을 만든 사람은 대통령이라고 판단했다"고 증언했다.
검찰이 그렇게 판단한 이유를 묻자 정 전 이사장은 "당시 국정과제 문화한류가 공공연히 알려졌고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기업들로부터 기금을 출연받아 만든 재단이라고 알았고 '이런 협찬을 받으려면 대통령 정도 권력이 있어야 하지 않겠나' 생각했다"고 대답했다.
검찰이 다시 '전경련을 통해 돈을 걷을 수 있는 사람이 대통령 밖에 없다고 말하는 것인가'라고 묻자 정 전 이사장은 "그렇게 생각한다. 최씨가 단독으로 그런다고 보지 않는다"고 했다.
검찰이 "최순실이 청와대의 위임을 받아 재단운영과 지시를 하는 줄 알고 따랐나"라고 묻자 정 전 이사장은 "네"라며 대답했다. 또 검찰이 "대통령이 뜻을 최순실을 통해 전달하는 것으로 생각했나"라라고 질문하자 정 전 이사장은 "전부는 아니지만 일부 그렇게 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런 증언은 K스포츠 운영과 설립에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았다는 최씨의 주장과 배치된다. 최씨는 안 전 수석, 박 대통령과 공모해 두 재단에 50여개 대기업이 774억원을 출연하도록 강요한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강요) 등을 받고있다.[비즈니스포스트 오은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