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정부가 추진하는 철강 생산감축 구조조정에 의문이 제기됐다.
중국이 철강 생산능력을 감축하면 중국산 철강의 공급과잉으로 피해를 봤던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사에 호재가 될 것으로 여겨졌는데 이런 기대가 무너질 수도 있다.
|
|
|
▲ 권오준 포스코 회장(왼쪽)과 우유철 현대제철 부회장. |
이종형 대신증권 연구원은 20일 “중국정부가 지난해 중국의 철강 생산능력을 대규모로 줄였다고 발표했지만 객관적인 자료가 부족해 설득력이 떨어진다”며 “중국정부의 발표와 달리 중국의 철강생산량은 매달 늘었다”고 분석했다.
중국정부는 지난해 8천만 톤 정도의 철강을 생산할 수 있는 철강 생산설비를 폐쇄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철강 생산설비 감축목표인 4500만 톤의 2배에 이른다.
중국정부는 아시아의 철강 과잉생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2020년까지 1억 톤에서 1억5천 톤의 철강을 생산할 수 있는 생산설비를 폐쇄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연구원은 중국정부의 발표와 달리 중국의 조강 생산량은 지난해 3월부터 11월까지 2015년과 비교해 매달 늘어났다고 파악했다. 조강은 철판이나 철봉의 소재로 쓰이는 철강인데 일반적으로 한 나라의 강철생산량은 조강생산량으로 가늠한다.
중국산 조강은 지난해 8억1천 톤 가량 생산됐을 것으로 추정됐다. 2015년과 비교해 1천 톤 가량 늘어난 것이다.
중국정부가 10년이 넘도록 철강 생산설비 감축작업에 실패하다가 갑자기 성공했다고 발표한 점도 중국정부의 발표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이유로 꼽혔다.
이 연구원은 “중국정부는 10년 이상 철강 구조조정 작업을 진행했는데 그동안 지방정부의 세수, 고용문제 등에 막혀 실패했다”며 “중국정부가 지방정부의 세수나 고용문제 없이 어떻게 강도높은 철강 구조조정 작업을 진행했는지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정부는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철강 생산능력을 줄이려고 했지만 지방정부의 세수감소와 실업자 발생 등의 문제에 막혀 번번이 실패했다.
중국에서는 지방정부의 세수가 줄어들었다거나 대규모 실업사태가 발생했다는 보도가 나오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중국정부 역시 어떤 방식으로 이 작업을 진행했는지 밝히고 있지 않다고 이 연구원은 파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