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과 롯데그룹, CJ그룹 등 박영수 특검의 수사대상에 오른 대기업이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영장 기각으로 ‘특검 리스크‘의 부담을 다소 덜 수 있게 됐다.
그러나 특검이 이 기업들의 뇌물혐의를 강도높게 수사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어 긴장을 늦출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
|
|
▲ 최태원 SK그룹 회장(왼쪽)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
법원이 이 부회장의 구속영장을 19일 기각하면서 SK그룹과 롯데그룹, CJ그룹은 특검수사에서 총수의 구속영장이 청구될지도 모르는 최악의 상황을 피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 부회장은 박근혜 게이트 수사과정에서 처음으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총수이기 때문에 이 부회장의 영장이 발부될지 여부가 앞으로 다른 기업의 수사강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이 수사를 시작한 뒤 삼성그룹의 뇌물죄 규명에 수사력을 집중해왔는데도 이번에 구속영장이 기각되면서 이 부회장 수사에 적용한 잣대를 그대로 다른 대기업 총수에게 들이대기 어려워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SK그룹과 CJ그룹, 롯데그룹은 삼성그룹처럼 뇌물의혹에 총수가 직접적으로 얽혀 있는 데다 특검이 앞으로 이들을 본격적으로 수사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치고 있어 특검수사에 부담을 안고 있다.
SK그룹은 최태원 회장의 사면복권의 대가로 미르와 K스포츠에 111억 원을 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최 회장은 2015년 8월 광복절 특사로 출소했는데 그룹에서 미리 최 회장의 사면을 놓고 청와대와 거래를 했다는 것이다.
롯데그룹은 신동빈 회장이 면세점사업에서 특혜를 받기 위해 청와대와 거래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CJ그룹은 이재현 회장의 사면을 위해 K컬쳐밸리에 1조 원이 넘는 투자를 결정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특검이 이 부회장의 구속영장을 다시 청구할지 여부가 앞으로 다른 기업을 겨냥한 수사강도를 점칠 수 있는 변수가 될 수도 있다.
구속영장을 재청구해 강한 의지를 보일 경우 다른 대기업들이 안게 될 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다만 특검의 수사기간이 정해져 있는 가운데 영장 재청구에 시간을 쏟게 되면 다른 기업들을 수사할 수 있는 기간은 그만큼 줄어든다.
특검은 "이 부회장 영장 재청구 여부 등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지만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헌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