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헌재 전 부총리가 조선해운 등 중후장대산업이 무너지면 노동시장이 붕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전 부총리는 10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EY한영 신년 경제전망 세미나에서 주제 발표를 통해 이렇게 강조하며 “한국경제가 정말로 큰 난관에 봉착했다”고 우려했다.

  이헌재 "조선과 해운 무너지면 노동시장 붕괴"  
▲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가 10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EY한영 신년 경제전망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
그는 “한국경제의 전통적 산업구조와 선단식 경영모델이 성장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선단식 경영은 재벌 그룹들이 주력회사를 중심으로 많은 계열사들을 거느린 형태를 선대에 빗댄 말이다.

이 전 부총리는 특히 도널드 존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에 따른 불확실성도 한국경제에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세계는 전인미답의 트럼프 월드에 들어가게 됐다”며 “27년 전 레이건 전 대통령이 세계시장을 향해 문을 열었다면 트럼프는 이제 미국시장의 문을 닫으려고 한다”고 미국의 보호주의 움직임을 경계했다.

이 전 부총리는 인구변화에 따른 한국경제의 침체도 우려했다.

그는 “올해 우리 인구가 분기점을 맞는 시기”라며 “통계적으로 볼 때 우리나라에서 인구구절벽이 시작되는 원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노년층 복지비 부담이 경제를 짓누를 것”이라며 “중국 소비시장 경색, 가계부채 뇌관, 내수불황 등이 맞물려 한국경제를 전방위적으로 압박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 전 부총리는 4차 산업혁명이 위기이자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경제의 뚜렷한 성장동력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4차 산업혁명을 새로운 돌파구로 만들기 위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전 부총리는 노무현 정부에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지냈으며 EY 아시아태평양지역 상임고문을 맡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