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철강업계에 스마트공장을 도입할 것을 강조했다.
주 장관은 10일 철강업계 신년인사회에서 “정부는 2017년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개발과 스마트제철소 확산에 정책의 역점을 두고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 (왼쪽)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권오준 포스코 회장. |
이날 신년인사회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철강협회 공동주관으로 포스코센터에서 열렸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한국철강협회 회장도 맡고 있다.
주 장관은 “철강 생산공정에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을 적용해 효율성과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스마트 제철소를 구축해야 한다”며 “4차 산업혁명을 뒷받침할 수 있는 초경량 철강재, 이종 결합 소재, 3D프린터용 메탈 소재 등 기능성 소재의 개발에도 더욱 박차를 가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주 장관의 이런 주문은 권 회장의 올해 신년사 기조와 맥락을 같이한다.
권 회장은 2017년 신년사에서 스마트 기법에 기반한 고유역량을 확보해 미래 성장엔진 준비에 몰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회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포스코만의 차별화된 경쟁우위 확보가 가능한 분야를 미래 성장사업으로 개척해야 한다”며 “철강에서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원가 경쟁력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최근 '스마트한' 제조현장을 구축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포스코는 2015년 7월 광양제철소 후판공장을 스마트공장으로 바꾸기 위해 광양제철소·포스코ICT 등이 함께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고 현재 공장이 시범가동되고 있다. 후판은 선박과 해양구조물 건조에 쓰이는 철강제품이다. 포스코ICT는 포스코의 IT 계열사로 소프트웨어 개발과 정보처리 등을 맡고 있다.
광양제철소 후판공장은 스마트공장의 모범적 사례로 꼽히고 있다.
후판공장은 설비에 문제가 생기면 빅데이터를 통해 작은 이상이라도 미리 감지해 정비시스템이 스스로 가동된다. 생산 과정에서 수요와 품질, 설비 상황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최적량이 계산돼 적합한 양을 생산하게 한다.
생산 도중에도 실시간 품질이 예측가능한 만큼 바로 조치에 들어가 불량품을 양산할 새가 없다. 사물인터넷 기술로 작업자의 위험 상황을 자동으로 판단해 안전 경보를 울리기도 한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