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에너지부가 재생에너지 확대의 위험성을 비판하고 화석연료 발전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에너지 정책 기조가 반영됐다. 미국 오하이오주에 위치한 석탄 발전소 사진.
대규모 감세 법안을 통해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 관련 지원을 사실상 폐지한 데 이어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정책 기조를 더욱 강화하는 셈이다.
블룸버그는 8일 “2030년까지 미국 인공지능 전력 수요가 급증하며 정전 현상이 빈번해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트럼프 정부가 석탄 발전소를 해법으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에너지부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를 보면 석탄과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기반의 발전소 폐쇄가 이러한 전력난의 원인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시됐다.
재생에너지에 지나치에 의존을 높인 결과가 대규모 정전(블랙아웃) 위험성을 높였다는 것이다.
에너지부는 “발전소 폐쇄로 5년 안에 미국 전역의 블랙아웃 가능성은 약 100배로 상승할 것”이라며 “이는 미국의 경제 성장과 국가 안보, 기술 리더십에 모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전했다.
인공지능 기술 구동을 위한 데이터센터 투자가 급증하면서 전력 수요가 2035년까지 현재의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이어졌다.
에너지부는 이와 관련해 연방정부 차원의 개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석탄 발전소의 수명 연장에 해당 보고서를 명분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해당 보고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라 작성됐다. 사실상 트럼프 정부의 화석연료 중심 에너지 정책을 뚜렷하게 반영하고 있는 셈이다.
에너지부는 연방전력법에 따라 석탄 및 가스 발전소의 운영을 명령할 수 있는 비상 권한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실제로 최근 폐쇄 예정이던 두 개의 발전소에 이러한 권한을 행사했다.
이번 보고서는 트럼프 정부와 공화당이 신재생에너지 세액공제 폐지를 포함한 대규모 감세 법안을 추진한 뒤 공개됐다.
신재생에너지 대신 화석연료 발전을 장려하는 트럼프 정부의 에너지 정책 기조가 뚜렷하게 반영된 셈이다.
환경단체들은 이번 보고서를 두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킷 케네디 천연자원보호위원회 전력국장은 “재생에너지는 전력망 안정성과 경제성을 더욱 높인다”며 “세제혜택 철회 뒤 에너지부 보고서가 나온 점은 역설적”이라고 비판했다.
환경단체 어스저스티스도 성명을 내고 에너지부의 이번 보고서가 재생에너지의 역할을 지나치게 축소해 표현하고 있다는 비판을 전했다.
어스저스티스는 “석탄과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발전소는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을 대규모로 발생시킨다”며 “발전소 수명 연장은 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에너지부는 현재 폐쇄 예정인 화석연료 발전소 규모가 원자로 100기 수준에 이른다고 강조하며 태양광과 풍력 발전은 기상 상황에 따라 불안정한 전력 공급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