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태광산업의 교환사채 발행에 제동이 걸렸다.
금융감독원은 태광산업이 지난 27일 제출한 교환사채 발행 보고서 심사 결과 정정명령을 부과했다고 1일 밝혔다.
금감원 측은 “신고서에 내용 가운데 발행 상대방 등에 대한 중요한 누락이 있었다”며 “교환사채권 발행결정 관련 내용이 변경될 수 있으니 투자판단에 참고하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태광산업은 보유한 자사주 27만1769주(지분율 24.41%)를 1주당 117만2251원에 교환할 수 있는 교환사채 발행을 추진하고 있다.
발행 규모는 총 3186억 원 규모였다.
조달한 자금은 신사업에 투자할 예정으로 2025년 2천억 원, 2026년 1200억 원을 사용할 예정이었다.
태광산업은 1일 본업인 석유화학 사업의 업황악화에 대응해, 화장품·에너지·부동산 투자 등 분야 진출을 위한 1조5천억 원 규모의 투자를 발표했다.
이에 따른 투자금 확보를 위해 교환사채를 발행이 필요하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태광산업이 자사주 소각을 통한 주주 이익 극대화보다는 자사주를 대주주 등 특정 집단의 지분으로 전환하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신재희 기자
금융감독원은 태광산업이 지난 27일 제출한 교환사채 발행 보고서 심사 결과 정정명령을 부과했다고 1일 밝혔다.

▲ 금융감독원이 태광산업의 교환사채 발행에 정정명령을 부과했다. <태광산업>
금감원 측은 “신고서에 내용 가운데 발행 상대방 등에 대한 중요한 누락이 있었다”며 “교환사채권 발행결정 관련 내용이 변경될 수 있으니 투자판단에 참고하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태광산업은 보유한 자사주 27만1769주(지분율 24.41%)를 1주당 117만2251원에 교환할 수 있는 교환사채 발행을 추진하고 있다.
발행 규모는 총 3186억 원 규모였다.
조달한 자금은 신사업에 투자할 예정으로 2025년 2천억 원, 2026년 1200억 원을 사용할 예정이었다.
태광산업은 1일 본업인 석유화학 사업의 업황악화에 대응해, 화장품·에너지·부동산 투자 등 분야 진출을 위한 1조5천억 원 규모의 투자를 발표했다.
이에 따른 투자금 확보를 위해 교환사채를 발행이 필요하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태광산업이 자사주 소각을 통한 주주 이익 극대화보다는 자사주를 대주주 등 특정 집단의 지분으로 전환하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