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정부가 자국 내 조선산업 재건에 나서며 오는 2037년까지 최대 448척의 선박을 발주할 계획인 가운데, 한국 조선업계가 이에 대응한 협력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인협회는 류민철 한국해양대학교 교수에게 의뢰해 발간한 ‘미국 조선산업 분석 및 한미 협력에서의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19일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LNG 운반선, 상선, 해군 군함 등을 중심으로 403~448척의 선박 발주가 예상된다.
이번 정책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9일 서명한 ‘미국 해양 지배력 회복을 위한 행정명령’(EO 14269)에 따른 것으로, 해양 행동계획(MAP) 수립, 해양안보 신탁기금(MSTF) 설립, 중국산 선박·장비 제재, 동맹국과의 협력 확대 등이 포함됐다.
앞서 미국 의회는 2025년 4월 ‘미국선박지원법(SHIPS for America Act)’를 발의해 전략상선단을 250척으로 확대하고, 2047년까지 미국에서 건조된 선박으로 LNG 수출 화물의 15%를 운송토록 규정했다.
한경협은 보고서를 통해 한국 조선업계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과 상선 신조, 해군 군함 유지보수(MRO), 차세대 선박 등 사업성이 높은 분야에 참여할 수 있도록 분야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특히 LNG 운반선의 경우 미국 내 전량 건조는 어려운 만큼, 중장기적 현지화 전략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미 전략상선단이 중형급 선박 위주로 구성될 예정이므로, 국내 중형 조선사의 수주 확대를 위한 민관 협력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군함 부문에서는 미국이 무기체계와 연계된 전투함정의 건조를 외국에 맡길 가능성은 낮은 만큼, 초기에는 선체 보수 등 유지보수 사업으로 신뢰를 확보하고, 점차 참여 영역을 확대해야 한다는 전략이 제시됐다.
신조 분야에서는 수송·지원함 및 상륙함 중심의 협력이 적절하다는 분석이다.
차세대 선박 분야에서는 이산화탄소(CO2) 운반선, 액체수소 운반선, 무인 자율운항선박 등 기술을 중심으로 한미 공동기금 설립을 통한 기술 협력 및 사업화가 필요하다는 제안도 포함됐다.
한편 보고서에선 미국 조선산업 생태계 재건을 위한 투자와 인력 확보가 병행돼야 하며, 한국 기업의 미국 내 조선소 인수와 관련한 보조금, 인프라 개선 등의 사전 협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아울러 국내 인력 유출 방지를 위한 인력 양성, 은퇴자 재고용, 기술수출 규제 완화 등도 검토해야 할 정책과제로 제시됐다.
류민철 교수는 “미국 현지 사업 추진 시 인력과 공급망 저변 확보를 위한 한미 간 전략 수립이 중요하다”며 “정책 변화에 따른 리스크 관리도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인협회 이상호 경제산업본부장은 “미국의 조선산업 재건 사업은 한국 조선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중대한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정부와 국회가 미래형 선박 지원 강화와 스마트 조선소 구축 등을 통해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도은 기자
한국경제인협회는 류민철 한국해양대학교 교수에게 의뢰해 발간한 ‘미국 조선산업 분석 및 한미 협력에서의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19일 이같이 밝혔다.

▲ 미국 정부가 자국 내 조선산업 재건에 나서며 오는 2037년까지 최대 448척의 선박을 발주할 계획을 세웠다. 사진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미주 서안 최대규모의 항구 롱비치항(The Port of Long Beach)의 전경. <롱비치항>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LNG 운반선, 상선, 해군 군함 등을 중심으로 403~448척의 선박 발주가 예상된다.
이번 정책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9일 서명한 ‘미국 해양 지배력 회복을 위한 행정명령’(EO 14269)에 따른 것으로, 해양 행동계획(MAP) 수립, 해양안보 신탁기금(MSTF) 설립, 중국산 선박·장비 제재, 동맹국과의 협력 확대 등이 포함됐다.
앞서 미국 의회는 2025년 4월 ‘미국선박지원법(SHIPS for America Act)’를 발의해 전략상선단을 250척으로 확대하고, 2047년까지 미국에서 건조된 선박으로 LNG 수출 화물의 15%를 운송토록 규정했다.
한경협은 보고서를 통해 한국 조선업계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과 상선 신조, 해군 군함 유지보수(MRO), 차세대 선박 등 사업성이 높은 분야에 참여할 수 있도록 분야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특히 LNG 운반선의 경우 미국 내 전량 건조는 어려운 만큼, 중장기적 현지화 전략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미 전략상선단이 중형급 선박 위주로 구성될 예정이므로, 국내 중형 조선사의 수주 확대를 위한 민관 협력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군함 부문에서는 미국이 무기체계와 연계된 전투함정의 건조를 외국에 맡길 가능성은 낮은 만큼, 초기에는 선체 보수 등 유지보수 사업으로 신뢰를 확보하고, 점차 참여 영역을 확대해야 한다는 전략이 제시됐다.
신조 분야에서는 수송·지원함 및 상륙함 중심의 협력이 적절하다는 분석이다.
차세대 선박 분야에서는 이산화탄소(CO2) 운반선, 액체수소 운반선, 무인 자율운항선박 등 기술을 중심으로 한미 공동기금 설립을 통한 기술 협력 및 사업화가 필요하다는 제안도 포함됐다.
한편 보고서에선 미국 조선산업 생태계 재건을 위한 투자와 인력 확보가 병행돼야 하며, 한국 기업의 미국 내 조선소 인수와 관련한 보조금, 인프라 개선 등의 사전 협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아울러 국내 인력 유출 방지를 위한 인력 양성, 은퇴자 재고용, 기술수출 규제 완화 등도 검토해야 할 정책과제로 제시됐다.
류민철 교수는 “미국 현지 사업 추진 시 인력과 공급망 저변 확보를 위한 한미 간 전략 수립이 중요하다”며 “정책 변화에 따른 리스크 관리도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인협회 이상호 경제산업본부장은 “미국의 조선산업 재건 사업은 한국 조선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중대한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정부와 국회가 미래형 선박 지원 강화와 스마트 조선소 구축 등을 통해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도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