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빙그레의 1분기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를 32% 하회한 것으로 평가됐다.

IBK투자증권은 16일 빙그레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이익 추정치 하향에 따라 목표주가를 11만 원으로 8.3% 낮췄다.
 
IBK투자 "빙그레 올해 실적 향방은 성수기 날씨에 좌우, 원가 부담 점차 완화"

▲ 빙그레는 올해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4.8% 줄어든 1249억 원으로 예상된다. <빙그레>


빙그레의 1분기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2.5% 늘어난 3085억 원, 영업이익은 36.1% 감소한 135억 원으로 컨센서스(매출액 3096억 원, 영업이익 197억 원)와 추정치(매출액 3018억 원, 영업이익 157억 원) 대비 매출은 부합, 영업이익은 하회했다.

우려했던 코코아·커피 등 원재료 가격 상승 외에도, 통상임금 적용에 따른 인건비 증가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또 지난해 1분기 높은 실적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3월 초 일부 제품 가격 인상을 단행해 원가 부담은 점차 완화될 전망이나, 매분기 통상임금 반영을 고려하면 원가율 개선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성수기 기온 등 날씨 변수는 올해 실적 향방을 좌우할 핵심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부문별로, 1분기 냉장류(별도_유음료 등)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5.8% 줄어든 1442억 원으로 추정치(1486억 원)를 소폭 하회했다. 냉장류 분기 매출 감소폭이 5% 이상을 기록한 것은 2018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그만큼 내수 소비 위축 영향이 크다고 해석된다.

냉동류(별도_빙과, 스낵, 더단백 등 상온제품)는 전년 동기대비 14.2% 증가한 1409억 원으로 추정치(1276억 원)를 상회했다. 빙과 판매는 소폭 개선됐고, 상온커피와 더단백 등 기타 제품 판매 호조가 성장을 견인했다.

연결 법인별, 미국 법인은 메로나 등 빙과 판매 증가로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39.4% 늘어난 210억 원, 순손익은 51.5% 증가한 30억 원을 기록했다. 중국은 마케팅 축소로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21.7% 하락한 83억 원으로 줄었지만, 순손익은 54.8% 증가한 6억 원으로 개선됐다.

이와 반대로 베트남은 프로모션 확대하며 매출이 전년대비 45.6% 늘었지만, 순손익은 74.6% 감소했다.

해태아이스크림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9% 늘어난 303억 원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당기순이익은 11억 원으로 흑자전환했다. 

빙그레의 2025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6.0% 늘어난 1조5507억 원, 영업이익은 4.8% 줄어든 1249억 원으로 추정된다. 장원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