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2차전지, 양자기술, 인공지능(AI) 로봇 등 첨단기술 테마를 앞세워 주가를 연쇄적으로 조작한 일당이 재판에 넘겨졌다.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부는 15일 코스닥 상장사 3곳 시세를 조종한 혐의로 13명을 기소하고, 이 가운데 8명을 구속했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주식 브로커와 전직 경찰관 등과 가수 이승기씨 장인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수천억 원대 펀드 사기 ‘라임자산운용 사건’ 주범인 이인광 전 에스모 회장의 도피자금 조달 정황을 추적하던 중 이 일당의 시세조종 정황을 포착했다.
이들은 이인광 전 에스모 회장의 도피자금을 마련하고자 2022년 11월부터 2차전지 기술을 내세워 코스닥 상장사 중앙첨단소재 주가를 조작했다.
당시 주당 490원이던 주가는 시세조종으로 2023년 4월 최대 5850원까지 급등했다. 이 주가조작으로 일당은 약 140억 원 규모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2023년에는 양자기술 테마를 내세워 신재생에너지 업체 퀀타피아 주가를 부풀려 약 60억 원을 부당하게 취득했다. 퀀타피아는 2024년 2월 거래가 정지됐다.
일당은 거래정지에 따른 손실을 만회하고자 2024년 7월 유심 제조업체인 엑스큐어가 AI 로봇 사업을 추진한다는 소문을 퍼뜨리고 시세조종 주문을 넣기도 했다.
검찰은 이들이 보유한 부동산과 고급 차량 등 30억 원 규모의 재산을 추징 보전하는 등 범죄수익 환수에 주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지영 기자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부는 15일 코스닥 상장사 3곳 시세를 조종한 혐의로 13명을 기소하고, 이 가운데 8명을 구속했다고 밝혔다.

▲ 가수 이승기씨(사진) 장인 등 코스닥 상장사 3곳에 연이어 주가조작을 한 일당이 15일 기소됐다. <연합뉴스>
여기에는 주식 브로커와 전직 경찰관 등과 가수 이승기씨 장인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수천억 원대 펀드 사기 ‘라임자산운용 사건’ 주범인 이인광 전 에스모 회장의 도피자금 조달 정황을 추적하던 중 이 일당의 시세조종 정황을 포착했다.
이들은 이인광 전 에스모 회장의 도피자금을 마련하고자 2022년 11월부터 2차전지 기술을 내세워 코스닥 상장사 중앙첨단소재 주가를 조작했다.
당시 주당 490원이던 주가는 시세조종으로 2023년 4월 최대 5850원까지 급등했다. 이 주가조작으로 일당은 약 140억 원 규모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2023년에는 양자기술 테마를 내세워 신재생에너지 업체 퀀타피아 주가를 부풀려 약 60억 원을 부당하게 취득했다. 퀀타피아는 2024년 2월 거래가 정지됐다.
일당은 거래정지에 따른 손실을 만회하고자 2024년 7월 유심 제조업체인 엑스큐어가 AI 로봇 사업을 추진한다는 소문을 퍼뜨리고 시세조종 주문을 넣기도 했다.
검찰은 이들이 보유한 부동산과 고급 차량 등 30억 원 규모의 재산을 추징 보전하는 등 범죄수익 환수에 주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