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해상이 일회성 이익 제외로 지난해보다 크게 줄어든 순이익을 거뒀다.
현대해상은 올해 1분기 별도기준 순이익 2032억 원을 냈다고 14일 공시했다. 1년 전보다 57.4% 줄었다.
이는 주로 2024년 1분기에 반영된 일회성 이익이 제외된 효과로 파악됐다. 지난해 1분기 실적에는 제도변경에 따른 부채평가금액 감소로 손실부담계약 관련 비용 환입이 약 2700억 원 반영됐다.
보험손익을 자세히 살펴보면 장기보험손익은 1143억 원으로 1년 전보다 74.2% 줄었다.
현대해상은 독감 재유행 등 유행성 호흡계 질환 손해액이 늘며 타격을 입었다고 설명했다.
자동차보험 손익은 157억 원으로 2024년 1분기보다 63.0% 줄었다. 보험료 인하 및 정비수가 인상 등에 영향을 받아 손해율이 악화했다.
일반보험손익은 459억 원으로 고액사고가 발생하지 않아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투자손익은 107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2% 줄었다.
장기보험 신계약 계약서비스마진(CSM) 배수 성장 및 수익성 높은 상품 포트폴리오 구성에 따라 CSM 잔액은 9조1078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4년 말보다 10.4% 늘었다.
3월 말 기준 지급여력비율(K-ICS)은 159.4%로 지난해 말보다 2.4%포인트 높아졌다.
현대해상 관계자는 “자산 듀레이션 확대와 자본성 증권 발행 검토 등으로 지급여력비율을 관리할 것”이라며 “금융당국이 제시하는 자본건전성 관리 방안에 맞춰 방향성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현대해상은 올해 1분기 별도기준 순이익 2032억 원을 냈다고 14일 공시했다. 1년 전보다 57.4% 줄었다.

▲ 현대해상이 1분기 별도기준 순이익 2032억 원을 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주로 2024년 1분기에 반영된 일회성 이익이 제외된 효과로 파악됐다. 지난해 1분기 실적에는 제도변경에 따른 부채평가금액 감소로 손실부담계약 관련 비용 환입이 약 2700억 원 반영됐다.
보험손익을 자세히 살펴보면 장기보험손익은 1143억 원으로 1년 전보다 74.2% 줄었다.
현대해상은 독감 재유행 등 유행성 호흡계 질환 손해액이 늘며 타격을 입었다고 설명했다.
자동차보험 손익은 157억 원으로 2024년 1분기보다 63.0% 줄었다. 보험료 인하 및 정비수가 인상 등에 영향을 받아 손해율이 악화했다.
일반보험손익은 459억 원으로 고액사고가 발생하지 않아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투자손익은 107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2% 줄었다.
장기보험 신계약 계약서비스마진(CSM) 배수 성장 및 수익성 높은 상품 포트폴리오 구성에 따라 CSM 잔액은 9조1078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4년 말보다 10.4% 늘었다.
3월 말 기준 지급여력비율(K-ICS)은 159.4%로 지난해 말보다 2.4%포인트 높아졌다.
현대해상 관계자는 “자산 듀레이션 확대와 자본성 증권 발행 검토 등으로 지급여력비율을 관리할 것”이라며 “금융당국이 제시하는 자본건전성 관리 방안에 맞춰 방향성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