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롯데웰푸드의 1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큰 폭으로 하회했으며, 하반기는 전년대비 증익이 가능할 것이다.
하나증권은 12일 롯데웰푸드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20만 원을 유지했다. 직전거래일 9일 기준 주가는 11만4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현 주가는 12개월 Fwd 주가수익비율(PER) 9배 거래 중으로 밸류에이션은 매력적이다.
롯데웰푸드의 1분기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2.5% 늘어난 9751억 원, 영업이익은 56.1% 감소한 164억 원을 시현했다. 손익은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다. 카카오 시세 급등에 따른 원가 부담 가중 영향이 지속되면서 전사 수익성이 전년대비 2.2%p 훼손됐다.
1분기 국내(건과+빙과+베이커리) 매출은 부진했다. 내수 소비경기 둔화 기인해 건과 및 빙과 총수요가 여전히 부진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건과 매출은 전년대비 1.1% 성장에 그쳤고, 빙과는 비우호적인 날씨 영향까지 겹치면서 -5.6% 역성장을 시현했다.
1분기 푸드 매출은 전년 수준을 기록했다. 유지 매출은 판매가격 상승 기인해 전년대비 3% 소폭 증가했다. 식자재 매출도 GRS 등 거래 확대 기인해 전년대비 3% 증가했다.
1분기 해외 제과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6.6% 고성장을 이어갔다. 인도 건과가 초코파이 3rd 라인 가동 이후 견조한 성장을 유지하는 가운데, 빙과도 푸네 신공장 가동이 본격화되면서 전년대비 34.4% 유의미한 성장을 시현했다.
카자흐스탄은 루블화 안정화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제품 재고 영향으로 매출 성장이 둔화됐다.
롯데웰푸드의 2025년 연결 매출액은 전년대비 4.1% 늘어난 4조2101억 원, 영업이익은 9.8% 증가한 1725억 원으로 전망한다. 카카오 투입가 상승에 따른 손익 부담이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심은주 하나증권 연구원은 “카카오 시세는 고점 대비 약 -30% 하락한 상황이다. 그러나, 여전히 작년 평균 투입 단가 대비는 2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현재 재고 수준 감안시, 2분기까지도 높은 투입 단가가 반영될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2분기부터 판매가격 인상이 반영된다. 1분기 저점으로 국내외 수익성은 점진적 회복이 예상된다. 하반기는 전년대비 증익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한다.
연결 손익은 2분기, 3분기, 4분기 각각 전년 동기대비 –18.6%, 5.1%, 흑자전환으로 추정한다.
다만, 전년대비 실적 개선 시점은 하반기로 다소 지연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측면에서, 국내 생산 효율성 개선(작년 증평 공장 매각, 올해 청주 공장 매각 예정)과 더불어, 해외사업 확장은 긍정적이다.
인도는 롯데 브랜드 매출 비중을 현재 30% → 2028년 40%까지 확대시킬 계획이다.
‘빼빼로’는 글로벌 인지도 증대를 위해 적극적인 마케팅을 진행 중이다. 장원수 기자
하나증권은 12일 롯데웰푸드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20만 원을 유지했다. 직전거래일 9일 기준 주가는 11만4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현 주가는 12개월 Fwd 주가수익비율(PER) 9배 거래 중으로 밸류에이션은 매력적이다.

▲ 롯데웰푸드의 중장기 방향성은 긍정적이다. <롯데웰푸드>
롯데웰푸드의 1분기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2.5% 늘어난 9751억 원, 영업이익은 56.1% 감소한 164억 원을 시현했다. 손익은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다. 카카오 시세 급등에 따른 원가 부담 가중 영향이 지속되면서 전사 수익성이 전년대비 2.2%p 훼손됐다.
1분기 국내(건과+빙과+베이커리) 매출은 부진했다. 내수 소비경기 둔화 기인해 건과 및 빙과 총수요가 여전히 부진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건과 매출은 전년대비 1.1% 성장에 그쳤고, 빙과는 비우호적인 날씨 영향까지 겹치면서 -5.6% 역성장을 시현했다.
1분기 푸드 매출은 전년 수준을 기록했다. 유지 매출은 판매가격 상승 기인해 전년대비 3% 소폭 증가했다. 식자재 매출도 GRS 등 거래 확대 기인해 전년대비 3% 증가했다.
1분기 해외 제과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6.6% 고성장을 이어갔다. 인도 건과가 초코파이 3rd 라인 가동 이후 견조한 성장을 유지하는 가운데, 빙과도 푸네 신공장 가동이 본격화되면서 전년대비 34.4% 유의미한 성장을 시현했다.
카자흐스탄은 루블화 안정화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제품 재고 영향으로 매출 성장이 둔화됐다.
롯데웰푸드의 2025년 연결 매출액은 전년대비 4.1% 늘어난 4조2101억 원, 영업이익은 9.8% 증가한 1725억 원으로 전망한다. 카카오 투입가 상승에 따른 손익 부담이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심은주 하나증권 연구원은 “카카오 시세는 고점 대비 약 -30% 하락한 상황이다. 그러나, 여전히 작년 평균 투입 단가 대비는 2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현재 재고 수준 감안시, 2분기까지도 높은 투입 단가가 반영될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2분기부터 판매가격 인상이 반영된다. 1분기 저점으로 국내외 수익성은 점진적 회복이 예상된다. 하반기는 전년대비 증익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한다.
연결 손익은 2분기, 3분기, 4분기 각각 전년 동기대비 –18.6%, 5.1%, 흑자전환으로 추정한다.
다만, 전년대비 실적 개선 시점은 하반기로 다소 지연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측면에서, 국내 생산 효율성 개선(작년 증평 공장 매각, 올해 청주 공장 매각 예정)과 더불어, 해외사업 확장은 긍정적이다.
인도는 롯데 브랜드 매출 비중을 현재 30% → 2028년 40%까지 확대시킬 계획이다.
‘빼빼로’는 글로벌 인지도 증대를 위해 적극적인 마케팅을 진행 중이다. 장원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