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윤병석 SK가스 대표이사 사장이 연임 이후 첫 분기 실적에서 기대 이상의 성적표를 받았다.

지난해말 상업운전을 시작한 발전사업의 높은 수익성을 입증하며 윤 사장이 추진한 LPG와 LNG 두 갈래 사업 전략도 탄력을 받게 됐다. 다만 석유화학 업황 둔화에 따라 자회사 SK어드밴스드 부진은 여전한 고민거리로 남아 있다.
 
SK가스 발전사업 기대 웃돌았다, 윤병석 사업재편 키워드 '양 날개 전략' 속도

윤병석 SK가스 대표이사 사장이 LPG LNG 두 갈래 사업전략에 탄력을 받고 있다 


12일 증권업계와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SK가스는 1분기 발전사업에서 높은 수익성을 입증한 것으로 평가된다.

SK가스는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8270억 원, 영업이익 1129억 원, 세전이익 1068억 원을 냈다. 1년 전보다 각각 5.9%, 51.3%, 205.5% 늘어난 것인데 특히 영업이익은 시장전망을 웃돌았다.

LPG-LNG 복합발전소 울산GPS가 지난해 12월 상업운전을 시작한 뒤 기대 이상의 수익성을 보여주며 실적 상승을 이끌었다. 

울산GPS는 1.2GW 규모의 LPG-LNG 혼소 발전소로 코리아에너지터미널(KET)과 함께 LPG 단일사업구조를 지녔던 SK가스의 LNG로의 사업확장 디딤돌로 여겨진다.

SK가스 1분기 발전 부문 영업이익은 514억 원, 세전이익은 443억 원, 영업이익률은 22.3%로 집계됐다. SK가스 전체 영업이익률이 그동안 4% 수준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신사업 진출과 함께 ‘캐시카우’도 마련한 셈이다.

유재선 하나증권 연구원은 “울산GPS 상업운전 이후 확인된 첫 실적이 상당히 긍정적”이라며 “1분기 이용률은 원자력 등 기저발전량이 늘어난 영향에 60% 초중반 수준으로 추정되지만 입지·연료비 경쟁력 등을 감안하면 앞으로 가동 안정화에 따른 개선 여지가 충분하다”고 바라봤다.

윤병석 사장이 지난 3월 SK가스 주주총회에서 재연임에 성공한 뒤 만족할 만한 첫 성적을 받아든 셈이다. 

SK가스는 그동안 오너일가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부회장과 전문경영인이 함께 이끄는 체제였다. 하지만 윤 사장이 2021년 첫 단독대표에 오른 뒤 재신임되며 입지를 단단히 다진 것으로 평가됐다.
 
SK가스 발전사업 기대 웃돌았다, 윤병석 사업재편 키워드 '양 날개 전략' 속도

▲ SK가스의 울산GPS 전경. 울산GPS는 LNG터미널 KET 등과 함께 SK가스가 올해를 LNG/발전 사업의 원년으로 삼는 배경으로 꼽힌다. < SK가스 >


윤 사장이 특히 그동안 LPG 단일사업으로 성장한 SK가스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에서도 이번 실적이 만족스러울 것으로 보인다. SK가스는 지난해 기준 매출의 97%를 LPG판매에서 거둬들였다.

3월 기자간담회에서도 윤 사장은 “LPG 사업만으로는 SK가스의 성장에 한계가 있다”며 “울산GPS 생산이 안정화되면 1단계, LNG탱크 증설과 벙커링 진출 등으로 2단계 실적 점프가 가능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다만 윤 사장은 석유화학 자회사 SK어드밴스드의 업황 부진에 따른 실적 부진은 여전한 고민거리로 안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SK어드밴스드는 프로판을 원료로 프로필렌과 수소 등 부산물을 생산하는 자회사다. 프로판은 LPG 주요 구성성분으로 SK어드밴스드는 SK가스에서 전량 원재료를 구입해 SK가스의 LPG 가치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다만 중국발 공급과잉과 수요 회복 지연, 프로판 가격 상승 등 겹악재에 SK가스 실적에 악영향을 끼쳤다. 나이스신용평가과 한국신용평가는 지난해 4월 SK어드밴스드 신용평가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낮추기도 했다.

SK가스는 1분기에도 SK어드밴스드 적자에 따른 지분법 손실로 133억 원 가량을 반영했다. 지분법상 적자 규모는 이전 분기보다 소폭 줄었지만 어려운 업황에 반등을 기대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시각이 많다.

윤 사장은 울산GPS 본격 가동으로 확실한 현금창출원을 마련한 만큼 주력 LPG사업에서 벗어나 LNG로의 쌍두마차 전략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LNG사업 확대에는 미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수소경제로의 진입 교두보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계산도 녹아 있다.

현재로선 100% 수소만을 이용한 발전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만큼 LNG 혼소발전 등이 현실적 중간 단계로 평가된다. 

SK가스는 현재로서는 울산GPS에서 LNG와 LPG 혼소발전에 머무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수소도 발전 요소로 활용한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윤 사장은 미래성장전략을 발표하면서 "수소와 암모니아를 통한 탄소제로 사업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그때까지 연결고리로서 LPG 일변도에서 벗어나 LNG로 중간 매개체가 될 사업을 만들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