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대통령선거라는 정치이벤트를 앞두고 관련 테마주가 예외없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특정 후보의 거취나 지지율에 근거해 '믿거나 말거나'식 풍문에 따라 변동성을 보이는 만큼 투자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이재명에 김문수 한덕수까지, 정치테마주 롤러코스터 '점입가경'

▲ 11일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테마주로 꼽히는 평화홀딩스의 주가 상승세가 눈에 띈다.


11일 증권시장 안팎에서는 테마주의 변동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탕주의를 노리는 ‘묻지마 투자’가 늘어난 것인데, 6월3일로 예정된 조기 대선이 한 달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최대 후보의 사법 위험(리스크)에 보수 성향 후보 단일화 논란까지 더해진 것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주말 전 마지막 거래일이었던 9일, 증권시장에서는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테마주의 변동성이 눈에 띄었다.

보수 후보 단일화 진통이 이어지는 가운데 두 후보의 행보에 따라 테마주 주가도 함께 요동쳤다.

일정실업과 태영건설 등 한 전 총리 테마주는 1일 총리직 사퇴 이후 크게 올랐다가, 현재는 주춤하는 모양새다.

9일 태영건설 우선주 주가는 전날보다 28.06% 폭락한 8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한 전 총리가 김 후보보다 단일화 경쟁에서 불리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자 투심이 얼어붙은 것이다.

이날 일정실업의 주가 역시 전날보다 14.2% 급락해 2만2350원을 기록했다.

반면 김 후보 테마주인 평화홀딩스의 주가는 순항하고 있다.

9일 평화홀딩스 주식은 89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전날보다 16.95% 오른 것이다.

평화홀딩스는 3일 김 후보가 국민의힘 최종경선에서 선출된 이후 주가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평화홀딩스 주가는 선출 직후 첫 거래일인 7일부터 9일까지 3거래일 동안 97.3% 급등했다.
 
이재명에 김문수 한덕수까지, 정치테마주 롤러코스터 '점입가경'

▲ 상지건설 등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테마주가 이 후보의 사법리스크에 따라 큰 변동성을 보였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테마주도 높은 변동성을 보이는 것은 마찬가지다. 특히 이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따라 주가의 향방이 결정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 후보의 대표 테마주로 꼽히는 상지건설은 지난달 10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이재명 후보가 야권의 유력 대선 후보로 떠오른데 따른 것이다.

4월1일 3165원에 머무르던 주가는 4월18일 장중 5만6400원까지 치솟았고, 주가 상승률도 17배를 넘어섰다.

다만 이후 대법원의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사건 판결을 앞두고 투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주가는 4월28일 2만3750원까지 추락했다.

하락했던 주가는 5월7일부터 2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달성하며 급반등했다. 

이날 공직선거법 사건 파기환송심을 맡은 서울고등법원 재판부가 첫 공판을 대선 이후인 6월18일로 미루자 이 후보의 사법리스크가 해소될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됐다.

이처럼 정치테마주가 과열 양상을 보임에 따라 시장경보 종목 지정 횟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거래소는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급등하거나 투기 과열 양상이 보이는 종목에 시장경보제도를 통해 제동을 건다. 시장경보제도는 ‘투자주의→투자경고→투자위험’ 3단계로 구성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4월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서 투자경고 종목 지정 건수는 모두 56건이었다. 월별 기준 4월 역대 최대치다.

투자주의·투자위험 종목 수도 크게 증가했다. 4월 투자주의 종목 지정 건수는 330건으로 2024년 4월 113건보다 3배가량 늘어났다. 투자위험 종목 지정 건수도 3건을 기록해 1년 전 1건보다 증가했다.

금융당국도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았다.

금융감독원은 1일 정치테마주 관련 불공정거래를 포착하기 위해 특별단속반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2024년 12월부터 최근까지 시장경보 종목 중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된 종모 가운데 60개 종목을 정치테마주로 분류했다”며 “정치테마주는 기업의 본질적 가치와 무관하게 정치인과 학연·지연 등의 이유로 주가가 급등락하고 주가 흐름을 예측하기 어려워 투자자 피해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또 “정치테마주 관련 허위사실이나 풍문을 생산·유포하는 불공정거래자는 처벌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정치테마주는 주로 중소형주며 낮은 수익률에도 고평가 돼 폭락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박재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