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용산구와 강남3구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뒤 4월부터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크게 줄었다. <다방>
8일 부동산 분석업체 ‘다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4월 용산구와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의 아파트 거래량은 시행 전인 3월보다 90% 이상 줄었다.
세부적으로는 송파구 63건, 강남구 37건, 서초구 11건, 용산구 11건 등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도 80% 이상 감소했다.
전체 서울 아파트 매매가 줄어든 가운데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 재지정된 곳의 감소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분석됐다.
4월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3191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 줄었다.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는 올해 1월부터 오름세를 보이다가 4월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서울의 다른 지역도 4월 매매 거래량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용산구와 강남3구에 이어 강동구 매매거래가 3월보다 69% 줄었고, 성동구(68%), 동대문구(65%), 동작구·종로구·중구(64%), 마포구(63%), 광진구(62%), 영등포구(60%) 순서로 매매거래가 줄었다.
노원구(58%), 강서구·금천구(56%), 성북구(54%), 양천구(53%), 은평구(52%), 관악구(50%), 구로구·중랑구(48%), 서대문구(47%), 도봉구(39%), 강북구(30%) 등이 뒤를 이었다.
다방 관계자는 “토허제가 풀리면서 늘어났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확대지정 발표와 함께 줄어들었다”며 “거래제한이 강화된 지역을 중심으로 위축된 소비심리가 회복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다”고 말했다. 안수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