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경제성장률 하락 등에 대비해 통화정책 운영체계 개선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바라봤다.
이 총재는 30일 오전 한국금융학회와 개최한 ‘우리나라 통화정책 수단의 운용과제 및 시사점’ 심포지엄 환영사에서 “한국 경제는 저출산·고령화 심화, 잠재성장률 추세적 하락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이에 “한국도 선진국처럼 정책금리가 제로 하한 수준에 근접하게 되면 양적완화 정책을 도입할 수 있을지,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등에 관한 고민을 시작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양적완화는 기준금리 수준이 너무 낮아 금리인하를 통한 정책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때 중앙은행이 국채와 공사채 매입 등을 통해 시장에 유동성을 직접 공급하는 방식의 통화정책을 말한다.
기존 한국은행의 통화안정증권 발행,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 제도 등의 개선방안 논의도 필요하다고 봤다.
이 총재는 “한국도 거주자의 해외증권투자가 증가하는 등 유동성 수급 여건에 중대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런 변화를 고려해 통화안정증권 역할을 재점검하고 한국은행의 환매조건부증권(RP) 거래 등의 개선방향도 모색해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박혜린 기자
이 총재는 30일 오전 한국금융학회와 개최한 ‘우리나라 통화정책 수단의 운용과제 및 시사점’ 심포지엄 환영사에서 “한국 경제는 저출산·고령화 심화, 잠재성장률 추세적 하락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통화정책 심포지엄에 참석해 금리 외 양정완화 등 통화정책 운영체계 개선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에 “한국도 선진국처럼 정책금리가 제로 하한 수준에 근접하게 되면 양적완화 정책을 도입할 수 있을지,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등에 관한 고민을 시작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양적완화는 기준금리 수준이 너무 낮아 금리인하를 통한 정책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때 중앙은행이 국채와 공사채 매입 등을 통해 시장에 유동성을 직접 공급하는 방식의 통화정책을 말한다.
기존 한국은행의 통화안정증권 발행,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 제도 등의 개선방안 논의도 필요하다고 봤다.
이 총재는 “한국도 거주자의 해외증권투자가 증가하는 등 유동성 수급 여건에 중대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런 변화를 고려해 통화안정증권 역할을 재점검하고 한국은행의 환매조건부증권(RP) 거래 등의 개선방향도 모색해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