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방관이 한국 정부가 관세 협상을 대선 전에 매듭짓고 싶어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파장이 일고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29일(현지시각) 오전 백악관에서 진행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 경제 성과 브리핑에서 한국과 일본의 선거 일정으로 관세 협상 진행이 늦어지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이 나라들은 선거 전 협상의 틀을 완성하길 원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베센트 장관은 이어 “우리가 회담을 통해 알게 된 것은 한국 정부가 선거 전에 무역 협상의 틀을 마련하고 미국과의 협상에서 성공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어한다는 것"이라며 "그들이 매우 적극적으로 협상 테이블에 와서 협정을 마무리하고 귀국한 뒤 이를 선거에 활용하려는 모습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베센트 장관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함께 지난 24일 워싱턴에서 열린 우리 정부와의 ‘2+2’ 통상협상에 참여한 당사자이다. 우리 정부 대표로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석했다.
최 부총리는 미국과 2+2 통상 협상을 마친 뒤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오는 7월까지 한미 양국의 협상 내용을 정리한 ‘줄라이 패키지’를 마련하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고 밝혔는데 미국 측에서 최 부총리의 설명과 다른 주장이 나온 것이다.
정부는 베센트 장관의 발언을 즉각 반박했다.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보도설명자료를 내고 "정부는 한미 통상협의시 대선 전에 협상을 마무리하기를 원한다고 언급한 바 없다“며 ”특히 2+2 통상협의에서 정부는 향후 협의 과정에서 한국의 정치상황, 국회와의 소통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고 밝혔다.
기재부와 산업부는 이어 “정부는 서두르지 않고 절차에 따라 미국과의 협의를 진행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주장했다. 김대철 기자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29일(현지시각) 오전 백악관에서 진행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 경제 성과 브리핑에서 한국과 일본의 선거 일정으로 관세 협상 진행이 늦어지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이 나라들은 선거 전 협상의 틀을 완성하길 원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29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우리 정부가 대선 전에 관세협상을 완료하기를 원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내놓고 있다. <연합뉴스>
베센트 장관은 이어 “우리가 회담을 통해 알게 된 것은 한국 정부가 선거 전에 무역 협상의 틀을 마련하고 미국과의 협상에서 성공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어한다는 것"이라며 "그들이 매우 적극적으로 협상 테이블에 와서 협정을 마무리하고 귀국한 뒤 이를 선거에 활용하려는 모습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베센트 장관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함께 지난 24일 워싱턴에서 열린 우리 정부와의 ‘2+2’ 통상협상에 참여한 당사자이다. 우리 정부 대표로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석했다.
최 부총리는 미국과 2+2 통상 협상을 마친 뒤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오는 7월까지 한미 양국의 협상 내용을 정리한 ‘줄라이 패키지’를 마련하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고 밝혔는데 미국 측에서 최 부총리의 설명과 다른 주장이 나온 것이다.
정부는 베센트 장관의 발언을 즉각 반박했다.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보도설명자료를 내고 "정부는 한미 통상협의시 대선 전에 협상을 마무리하기를 원한다고 언급한 바 없다“며 ”특히 2+2 통상협의에서 정부는 향후 협의 과정에서 한국의 정치상황, 국회와의 소통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고 밝혔다.
기재부와 산업부는 이어 “정부는 서두르지 않고 절차에 따라 미국과의 협의를 진행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주장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