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애경산업이 중국 시장의 경기침체가 이어지며 1분기 수익성이 후퇴했다.

애경산업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511억 원, 영업이익은 60억 원을 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0.7%, 영업이익은 63.3% 감소했다.
 
애경산업 1분기 영업이익 60억으로 63% 줄어, "중국 소비 침체 장기화"

▲ 애경산업이 중국의 경기침체 장기화로 실적이 후퇴했다.


애경산업은 “중국 시장의 소비 침체 장기화와 플랫폼 경쟁 심화 등 어려운 환경이 이어졌다”며 “글로벌 소비 환경 변화에 맞춰 일본, 미국 등 비중국 국가에서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하며 장기적 성장 기반 마련에 힘썼다”고 말했다.

사업부문별로 살펴보면 화장품사업은 1분기 매출 459억 원, 영업이익 11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27.2%, 영업이익은 88.4% 감소했다. 

애경산업은 “중국 시장의 소비 심리 위축과 플랫폼 경쟁 심화로 실적이 감소했다”며 “다만 글로벌 다변화와 소비자층 확대를 위한 국가별 전략을 강화하며 일본 시장 등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설명했다.

애경산업은 수출 다변화를 위해 국가별 디지털 마케팅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샤홍수·틱톡 중심 바이럴 강화와 인플루언서 협업을 추진했다. 일본에서는 걸그룹 아이브의 멤버 ‘레이’를 브랜드 홍보대사로 발탁해 인지도를 확장했다. 미국에서는 숏폼 콘텐츠 및 시딩 키트를 활용한 마케팅을 통해 소비자 접점을 확대한 것으로 파악됐다.

생활용품사업에서는 1분기 매출 1051억 원, 영업이익 49억 원을 냈다. 지난해 1분기보다 매출은 0.8%, 영업이익은 26.0% 감소했다. 

애경산업은 “1분기 퍼스널케어 및 프리미엄 제품의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글로벌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했다”며 “국내 채널 경쟁 심화 및 원가 상승 등 비용 부담으로 수익성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애경산업은 중장기적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전략을 이어나가기로 했다.

애경산업은 “글로벌 소비 환경 변화와 주요 시장 상황을 반영해 프리미엄 기반 수익성 강화, 세계화, 성장하는 채널 플랫폼 대응 강화 등 전략을 수립할 것”이라며 “시장별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중장기적 성장 기반을 다져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예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