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동아쏘시오홀딩스가 1분기 주요 사업회사들의 성장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늘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연결 기준 2025년 , 영업이익은 204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집계했다고 29일 공시했다. 2024년 1분기보다 매출은 7.7%, 영업이익은 30.9% 증가했다.
자회사별로 살펴보면 헬스케어 전문회사 동아제약 1분기 매출은 1701억 원, 영업이익은 169억 원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7.3%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2.9% 감소했다. 일반의약품 사업 부문의 성장으로 매출은 증가했지만, 공장 노후설비 교체에 따른 일회성 비용 증가로 수익성은 후퇴했다.
동아제약 1분기 사업부문별 매출은 일반의약품 560억 원, 박카스 546억 원, 생활건강 503억 원이었다. 지난해 1분기보다 일반의약품 매출은 29.4% 증가했으나 박카스와 생활건강 사업부문은 각각 3.1%, 3.7% 줄었다.
물류 전문회사 용마로지스는 1분기 매출 1009억 원, 영업이익 43억 원을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0.2%, 영업이익은 108% 증가했다. 신규 화주 유치와 의약품·화장품 물류 증가로 매출이 확대됐고, 운용 효율화로 원가율을 개선하면서 수익성도 강화됐다.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전문회사 에스티젠바이오는 자가면역질환치료제 스텔라라 생체의약품 복제약(바이오시밀러) 매출이 발생하면서 실적이 개선됐다. 1분기 매출은 191억 원, 영업이익 19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63.8%, 556.1% 늘었다.
계열사 동아에스티는 올해 1분기 매출 1690억 원, 영업이익 70억 원을 냈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20.7%, 영업이익은 853.8% 늘었다. 전문의약품 매출은 1173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15.4% 증가했다. 같은 기간 박카스를 비롯한 해외사업은 51.2% 증가한 424억 원을 기록했다.
동아에스티는 “전문의약품 매출은 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 기능성 소화불량치료제 ‘모리티톤’이 성장을 이끌었다”며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큐보’, 말초순환 개선제 ‘타나민’ 등 신규 품목도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김민정 기자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연결 기준 2025년 , 영업이익은 204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집계했다고 29일 공시했다. 2024년 1분기보다 매출은 7.7%, 영업이익은 30.9% 증가했다.

▲ 동아쏘시오홀딩스가 1분기 주요 사업회사들의 성장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늘었다.
자회사별로 살펴보면 헬스케어 전문회사 동아제약 1분기 매출은 1701억 원, 영업이익은 169억 원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7.3%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2.9% 감소했다. 일반의약품 사업 부문의 성장으로 매출은 증가했지만, 공장 노후설비 교체에 따른 일회성 비용 증가로 수익성은 후퇴했다.
동아제약 1분기 사업부문별 매출은 일반의약품 560억 원, 박카스 546억 원, 생활건강 503억 원이었다. 지난해 1분기보다 일반의약품 매출은 29.4% 증가했으나 박카스와 생활건강 사업부문은 각각 3.1%, 3.7% 줄었다.
물류 전문회사 용마로지스는 1분기 매출 1009억 원, 영업이익 43억 원을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0.2%, 영업이익은 108% 증가했다. 신규 화주 유치와 의약품·화장품 물류 증가로 매출이 확대됐고, 운용 효율화로 원가율을 개선하면서 수익성도 강화됐다.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전문회사 에스티젠바이오는 자가면역질환치료제 스텔라라 생체의약품 복제약(바이오시밀러) 매출이 발생하면서 실적이 개선됐다. 1분기 매출은 191억 원, 영업이익 19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63.8%, 556.1% 늘었다.
계열사 동아에스티는 올해 1분기 매출 1690억 원, 영업이익 70억 원을 냈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20.7%, 영업이익은 853.8% 늘었다. 전문의약품 매출은 1173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15.4% 증가했다. 같은 기간 박카스를 비롯한 해외사업은 51.2% 증가한 424억 원을 기록했다.
동아에스티는 “전문의약품 매출은 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 기능성 소화불량치료제 ‘모리티톤’이 성장을 이끌었다”며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큐보’, 말초순환 개선제 ‘타나민’ 등 신규 품목도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김민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