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화오션이 신규 설비 투자를 통해 생산능력을 늘린다.
한화오션이 28일 낸 공시를 종합하면 회사는 이날 이사회를 열고 부유식 도크 확장, 6500톤 급 부유식 크레인 도입 등을 결정했다.
투자 규모는 도크 확장이 3328억 원, 부유식 크레인이 2680억 원 규모다.
신규 부유식 도크는 2027년 3월 완공할 예정이다. 규격은 길이 480m, 폭 97m, 부양 능력 18만 톤이다.
해당 도크가 가동되면, 기존 도크들과의 역할 분리를 통한 생산 최적화로 선박 생산량이 늘어난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현재 회사는 육상 도크(Dry Dock) 2기, 부유식 도크 3기 등 총 5기의 도크를 운영하고 있다.
6천5백톤 급 해상 크레인은 2027년 11월 말까지 도입할 예정이다.
해당 크레인은 대형 블록을 직접 인양하고 도크에 탑재할 수 있다.
회사 측은 "기존 3천6백톤 급 해상 크레인 2기를 병렬로 운영해야 했던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설비 투자를 통해 외부 임차 설비 의존도를 줄이고, 선박 생산량과 건조 효율성 증대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생산 능력 확대에 맞춰 신규 고용과 관련 인프라 투자에 나설 예정이다. 신재희 기자
한화오션이 28일 낸 공시를 종합하면 회사는 이날 이사회를 열고 부유식 도크 확장, 6500톤 급 부유식 크레인 도입 등을 결정했다.

▲ 한화오션이 28일 이사회를 열고 부유식 도크 확장과 신규 부유식 크레인 도입 투자를 결정했다. <한화오션>
투자 규모는 도크 확장이 3328억 원, 부유식 크레인이 2680억 원 규모다.
신규 부유식 도크는 2027년 3월 완공할 예정이다. 규격은 길이 480m, 폭 97m, 부양 능력 18만 톤이다.
해당 도크가 가동되면, 기존 도크들과의 역할 분리를 통한 생산 최적화로 선박 생산량이 늘어난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현재 회사는 육상 도크(Dry Dock) 2기, 부유식 도크 3기 등 총 5기의 도크를 운영하고 있다.
6천5백톤 급 해상 크레인은 2027년 11월 말까지 도입할 예정이다.
해당 크레인은 대형 블록을 직접 인양하고 도크에 탑재할 수 있다.
회사 측은 "기존 3천6백톤 급 해상 크레인 2기를 병렬로 운영해야 했던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설비 투자를 통해 외부 임차 설비 의존도를 줄이고, 선박 생산량과 건조 효율성 증대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생산 능력 확대에 맞춰 신규 고용과 관련 인프라 투자에 나설 예정이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