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하나은행에서 74억 원 규모 금융사고가 적발됐다.
하나은행은 부당대출과 사적금전대차, 금품수수 관련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23일 공시했다.
해당 직원이 대출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여신거래처 및 관련인으로부터 금품을 수수하고 허위서류 등을 통한 부당대출을 실행했으며 사적으로 금전을 대차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금액은 74억7070만 원이며 손실예상금액도 같다. 확정된 금액은 아니다.
금융사고가 발생한 기간은 2021년 10월12일부터 2024년 12월26일까지 약 3년이다.
하나은행은 민원·제보에 의한 자체조사 과정에서 이 사고를 적발했다.
현재 해당 직원에게는 대기발령 조치를 취했으며 추가적 인사조치와 함께 형사고소 진행을 예정하고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향후 여신서류 점검 및 심사, 취급 전반에 대한 시스템을 개선하고 검사 강화 등을 통해 재발방지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사고금액 가운데 대부분이 담보여신으로 향후 부동산 매각을 통해 부실여신 회수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
하나은행은 부당대출과 사적금전대차, 금품수수 관련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23일 공시했다.

▲ 하나은행에서 74억 원 규모 금융사고가 적발됐다. <하나은행>
해당 직원이 대출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여신거래처 및 관련인으로부터 금품을 수수하고 허위서류 등을 통한 부당대출을 실행했으며 사적으로 금전을 대차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금액은 74억7070만 원이며 손실예상금액도 같다. 확정된 금액은 아니다.
금융사고가 발생한 기간은 2021년 10월12일부터 2024년 12월26일까지 약 3년이다.
하나은행은 민원·제보에 의한 자체조사 과정에서 이 사고를 적발했다.
현재 해당 직원에게는 대기발령 조치를 취했으며 추가적 인사조치와 함께 형사고소 진행을 예정하고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향후 여신서류 점검 및 심사, 취급 전반에 대한 시스템을 개선하고 검사 강화 등을 통해 재발방지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사고금액 가운데 대부분이 담보여신으로 향후 부동산 매각을 통해 부실여신 회수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