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치권이 추진하는 근무일수 단축 공약이 저비용항공사(LCC)의 성장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재 야당은 ‘주 4일 근무제’, 여당은 ‘주 4.5일 근무제’ 도입을 각각 추진하고 있다.
이재혁 LS증권 연구원은 21일 “법정 근무일수 단축 시 3~5일 짧은 기간의 근거리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며 “기존 주말 수요에 목·금요일 출발 수요가 추가돼 항공수요 저변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여행 수요의 계절성이 옅어지고 연 2회 이상의 단기 여행이 새로운 해외여행 트렌드로 자리잡은 현 시점에서 근무일수 축소는 저비용항공사 시장 성장기회”라고 말했다.
앞서 ‘주 5일 근무제’ 도입 전후를 살펴보면 일본·동남아·중국 등 근거리 국가 여행객 수는 시행이전보다 약 2배 늘어난 점이 확인된다.
법 개정까지는 시간이 걸리지만 대통령 선거와 새 정권 출범 후 법 개정을 위한 동력은 커질 것으로 분석됐다.
저비용항공사들의 올해 실적은 지난해보다 나빠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원은 “지속된 고환율과 운항비용 상승에 따른 비용부담 심화,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관련 공정거래위원회의 시정조치 개시, 잇따른 항공사고로 저비용항공사 이용 심리 위축 등이 그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하반기 추가경정 예상 집행에 따른 소비경기 진작, 합병 시정조치 영향 안정화, 고환율 일부 해소, 신형 협동체 항공기 인도량 반등 등을 통해 이익여건 개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현재 야당은 ‘주 4일 근무제’, 여당은 ‘주 4.5일 근무제’ 도입을 각각 추진하고 있다.

▲ 이재혁 LS증권 연구원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에서 도입을 추진하는 '주 4일 근무제'가 현실화되면 단거리 해외여행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21일 전망했다. 사진은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 모습. <연합뉴스>
이재혁 LS증권 연구원은 21일 “법정 근무일수 단축 시 3~5일 짧은 기간의 근거리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며 “기존 주말 수요에 목·금요일 출발 수요가 추가돼 항공수요 저변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여행 수요의 계절성이 옅어지고 연 2회 이상의 단기 여행이 새로운 해외여행 트렌드로 자리잡은 현 시점에서 근무일수 축소는 저비용항공사 시장 성장기회”라고 말했다.
앞서 ‘주 5일 근무제’ 도입 전후를 살펴보면 일본·동남아·중국 등 근거리 국가 여행객 수는 시행이전보다 약 2배 늘어난 점이 확인된다.
법 개정까지는 시간이 걸리지만 대통령 선거와 새 정권 출범 후 법 개정을 위한 동력은 커질 것으로 분석됐다.
저비용항공사들의 올해 실적은 지난해보다 나빠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원은 “지속된 고환율과 운항비용 상승에 따른 비용부담 심화,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관련 공정거래위원회의 시정조치 개시, 잇따른 항공사고로 저비용항공사 이용 심리 위축 등이 그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하반기 추가경정 예상 집행에 따른 소비경기 진작, 합병 시정조치 영향 안정화, 고환율 일부 해소, 신형 협동체 항공기 인도량 반등 등을 통해 이익여건 개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