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에 출마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AI(인공지능) 분야 대규모 투자를 포함한 ‘한국형 전환모델’이라는 경제비전을 내놨다.
김경수 민주당 대통령 선거후보 경선 후보는 16일 국회 소통관에서 경제분야 정책발표 기자회견을 열어 “AI(인공지능) 전환과 기후경제라는 필연적 흐름 앞에서 우리만이 내세울 수 있는 '한국형 전환 모델'을 만들어 내야한다”고 말했다.
AI 주권 확보와 산업 전환에 향후 5년 동안 100조 원 규모의 민관 공동투자를 이뤄낼 것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는 “민관 공동투자로 한국형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산업별로 특화된 AI 혁신 프로젝트를 지원하겠다”며 “AI, 차세대반도체, 바이오헬스, 모빌리티, 탈탄소 등 5대 첨단기술 분야 연구·혁신 사업을 위해 국가전략기술기금 50조 원을 조성해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전국 5대 권역 메가시티를 중심으로 한 균형발전 △지역의 ‘국가 특성화 연구중심대학’ 등을 통한 인재 양성 △벤처와 스타트업 혁신 생태계 조성 등을 공약했다.
김 후보는 “메가시티를 중심으로 한 초광역 단위 혁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며 “5대 권역별 자율예산 30조 원과 광역교통망 구축 등으로 5개의 성장 축을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산업과 지역을 골고루 발전시키는 인재공화국을 만들겠다”며 “지역의 청년들이 ‘국가 특성화 연구중심대학’과 지산학연 체계에서 혁신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후 변화에 따른 ‘기후경제’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짚으며 윤석열 정부 아래서 후퇴한 녹색산업 투자를 대폭 늘리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 후보는 “윤석열 정부에서 후퇴한 녹색산업 투자를 복원하겠다”며 "올해 기준 10조 원인 녹색산업 예산을 매년 1조 원씩 증액하고 민간투자를 35조 원까지 늘려 2030년 이후에는 매년 50조 원의 녹색투자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부의 투자를 늘리기 위해 윤석열 정부의 감세기조를 중단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국가투자 시대 적극적인 재정전략을 위해서는 17%대로 떨어진 조세부담률을 22% 이상으로 높여야 한다”며 “윤석열 정부가 추진했던 감세 기조는 즉각 중단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김 후보의 경선 캠프와 정책 싱크 탱크도 소개됐다.
김 후보는 경선 캠프 이름은 ‘더하기 캠프’, 싱크탱크 이름은 ‘네트워크형 정책싱크탱크’로 정했다. 캠프를 총괄하는 좌장에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을 임명했다. 정책 싱크탱크는 윤홍식 인하대 교수가 총괄한다.
김 후보는 “우리 싱크탱크는 선거 때면 반짝 모였다 사라지는 그런 모임이 아니다”라며 “오랜 기간 저와 꾸준히 소통해 온 정책 전문가 그룹으로 앞으로도 네트워크형 정책 싱크탱크를 지향하며 계속 함께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철 기자
김경수 민주당 대통령 선거후보 경선 후보는 16일 국회 소통관에서 경제분야 정책발표 기자회견을 열어 “AI(인공지능) 전환과 기후경제라는 필연적 흐름 앞에서 우리만이 내세울 수 있는 '한국형 전환 모델'을 만들어 내야한다”고 말했다.

▲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16일 국회 소통관에서 경제분야 정책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AI 주권 확보와 산업 전환에 향후 5년 동안 100조 원 규모의 민관 공동투자를 이뤄낼 것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는 “민관 공동투자로 한국형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산업별로 특화된 AI 혁신 프로젝트를 지원하겠다”며 “AI, 차세대반도체, 바이오헬스, 모빌리티, 탈탄소 등 5대 첨단기술 분야 연구·혁신 사업을 위해 국가전략기술기금 50조 원을 조성해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전국 5대 권역 메가시티를 중심으로 한 균형발전 △지역의 ‘국가 특성화 연구중심대학’ 등을 통한 인재 양성 △벤처와 스타트업 혁신 생태계 조성 등을 공약했다.
김 후보는 “메가시티를 중심으로 한 초광역 단위 혁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며 “5대 권역별 자율예산 30조 원과 광역교통망 구축 등으로 5개의 성장 축을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산업과 지역을 골고루 발전시키는 인재공화국을 만들겠다”며 “지역의 청년들이 ‘국가 특성화 연구중심대학’과 지산학연 체계에서 혁신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후 변화에 따른 ‘기후경제’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짚으며 윤석열 정부 아래서 후퇴한 녹색산업 투자를 대폭 늘리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 후보는 “윤석열 정부에서 후퇴한 녹색산업 투자를 복원하겠다”며 "올해 기준 10조 원인 녹색산업 예산을 매년 1조 원씩 증액하고 민간투자를 35조 원까지 늘려 2030년 이후에는 매년 50조 원의 녹색투자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부의 투자를 늘리기 위해 윤석열 정부의 감세기조를 중단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국가투자 시대 적극적인 재정전략을 위해서는 17%대로 떨어진 조세부담률을 22% 이상으로 높여야 한다”며 “윤석열 정부가 추진했던 감세 기조는 즉각 중단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김 후보의 경선 캠프와 정책 싱크 탱크도 소개됐다.
김 후보는 경선 캠프 이름은 ‘더하기 캠프’, 싱크탱크 이름은 ‘네트워크형 정책싱크탱크’로 정했다. 캠프를 총괄하는 좌장에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을 임명했다. 정책 싱크탱크는 윤홍식 인하대 교수가 총괄한다.
김 후보는 “우리 싱크탱크는 선거 때면 반짝 모였다 사라지는 그런 모임이 아니다”라며 “오랜 기간 저와 꾸준히 소통해 온 정책 전문가 그룹으로 앞으로도 네트워크형 정책 싱크탱크를 지향하며 계속 함께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