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보안시장 규모가 2020년 7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산업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2차 국가중요시설 방호 포럼’에서 “우리나라 물리적 보안시장 규모는 2020년까지 7조 원, 전 세계적으로는 300조 원이 넘을 것”이라며 “안전사업의 중대한 축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보안은 물리적 보안과 정보보안, 산업보안으로 구분되는데 물리적 보안이 기본뼈대가 된다.
정만기 산업부 1차관은 “보안분야도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융합이 전제돼야 하는 만큼 제4차 산업혁명의 대열에 합류해야 한다”며 “외부위협에서 국가중요시설의 안전을 철저히 보호할 수 있도록 꾸준히 관심을 보여달라”고 말했다.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국가중요시설의 보안시설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폐쇄회로(CC)TV 등 보안설비의 성능개발이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물리적 보안에서 첨단시설은 탐지와 지연에, 경비인력은 적시 대응에 주안점을 두고 운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