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3일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최 부총리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 일명 ‘F(Finance)4’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모두발언에서 “정부는 그동안 F4 회의를 중심으로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상황별 대응계획(컨틴전시 플랜)을 철저히 준비했다”며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되면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가용한 모든 시장안정조치를 즉각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현지시각으로 2일 미국 정부는 관세율 10%를 기본으로 하는 보편관세에 더해 한국 25%, 일본 24%, 유럽연합(EU) 20%, 중국 34%, 대만 32% 등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조치를 발표했다.
그동안 시장이 예상한 상호관세 시나리오 가운데 ‘최악의 경우’로 평가되면서 시장 충격과 관련한 우려도 커졌다.
최 부총리는 “시장 상황이 충분히 안정될 때까지 관계기관 합동 24시간 점검체계를 지속 가동하고, 외환·국채·자금시장 등 각 분야별 점검체계도 운영하겠다”며 “높은 상호관세 부과가 현실로 다가온 이상, 이제는 본격적 대응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한다”고 말했다.
시장변동성 대응을 위해 정부 기관은 물론 민간과 협력도 추진한다.
최 부총리는 “미국 관세정책을 면밀히 분석하고, 한국 경제에 미치는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대미협상에 범정부적 노력을 집중하겠다”며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등을 통해 민관이 함께 최선의 대응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자동차 등 피해 예상 업종별 지원, 조선 선수금환급보증(RG) 공급 확대 등 상호관세 대응을 위한 세부 지원방안을 순차적으로 발표하겠다”고 덧붙였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