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CJ대한통운 목표주가가 유지됐다.
정연승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일 CJ대한통운 목표주가를 13만 원으로,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유지했다.
직전거래일인 지난달 31일 CJ대한통운은 8만6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정연승 연구원은 “신규 서비스 관련 비용으로 1분기 택배 수익성 둔화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정 연구원은 “주 7일 배송 서비스 마케팅 비용과 인건비가 증가하고 택배 단가 인상이 2분기로 미뤄진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다만 2분기부터 단가 인상과 내수 부양 정책으로 물동량 회복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CJ대한통운은 주 7일 배송에 따른 고객사 확대와 2분기부터 시작될 택배 가격 인상, 연중 계속되는 물류창고(W&D) 매출 성장으로 하반기로 가면서 실적 모멘텀이 부각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CJ대한통운은 물류비 절감과 자동화 수요 증가에 따른 물류창고 매출이 연평균 15% 이상 성장했다.
주 7일 배송 등의 택배 서비스 고도화와 경쟁사와의 기반시설 차이를 기반으로 가격 협상력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주 7일 배송 관련 고객사(이커머스, 홈쇼핑 등)의 신규 서비스 관련 매출 증가도 나타났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내수 부진이 부담이나 장기 이익 성장 여력은 충분하므로 가치 저평가 기회를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2025년 연중으로 실적 성장이 예상되는 계약물류(CL) 내 물류창고 매출은 전년 대비 12% 성장이 기대되며 매출 성장률은 하반기로 갈수록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도은 기자
정연승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일 CJ대한통운 목표주가를 13만 원으로,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유지했다.

▲ NH투자증권이 1일 CJ대한통운 목표주가를 13만 원으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했다. < CJ대한통운 >
직전거래일인 지난달 31일 CJ대한통운은 8만6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정연승 연구원은 “신규 서비스 관련 비용으로 1분기 택배 수익성 둔화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정 연구원은 “주 7일 배송 서비스 마케팅 비용과 인건비가 증가하고 택배 단가 인상이 2분기로 미뤄진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다만 2분기부터 단가 인상과 내수 부양 정책으로 물동량 회복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CJ대한통운은 주 7일 배송에 따른 고객사 확대와 2분기부터 시작될 택배 가격 인상, 연중 계속되는 물류창고(W&D) 매출 성장으로 하반기로 가면서 실적 모멘텀이 부각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CJ대한통운은 물류비 절감과 자동화 수요 증가에 따른 물류창고 매출이 연평균 15% 이상 성장했다.
주 7일 배송 등의 택배 서비스 고도화와 경쟁사와의 기반시설 차이를 기반으로 가격 협상력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주 7일 배송 관련 고객사(이커머스, 홈쇼핑 등)의 신규 서비스 관련 매출 증가도 나타났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내수 부진이 부담이나 장기 이익 성장 여력은 충분하므로 가치 저평가 기회를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2025년 연중으로 실적 성장이 예상되는 계약물류(CL) 내 물류창고 매출은 전년 대비 12% 성장이 기대되며 매출 성장률은 하반기로 갈수록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도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