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카셰어링시장 1위 자리를 놓고 치열한 경쟁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017년부터 공공임대주택 단지 900여곳에 카셰어링 서비스를 도입한다. 쏘카와 그린카가 양강체제를 굳히고 있는 카셰어링시장에서 이번 사업을 거머쥐는 것이 승리의 열쇠가 될 수 있다.
|
|
|
▲ 박상우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 |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13일 오후 2시 LH본사에서 공청회를 열고 2017년부터 공공임대주택에 카셰어링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카셰어링은 주택가 근처 보관소에 주차된 차량을 시간 단위로 필요한 만큼만 쓰고 제자리에 돌려놓는 서비스다. 자동차 구입과 유지비용을 아낄 수 있다.
LH는 그동안 행복주택·국민임대주택·영구임대주택 등 99개 수도권 공공임대주택 단지에 카셰어링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도입해 운영해왔다.
이 서비스 대상을 전국 모든 공공임대주택 단지 900여곳으로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카셰어링 사업자는 공모를 통해 선정하기로 했다.
카셰어링의 경쟁력은 차고지 확보에 달려 있는 만큼 이번 사업자 선정을 놓고 업계에서 다툼이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공청회에 쏘카와 그린카, 씨티카 등 카셰어링 사업자들이 참석해 치열한 물밑경쟁을 예고했다.
카셰어링시장은 최근 가파르게 팽창하고 있다. 미국의 시장조사기관인 네비건트 리서치는 카셰어링 이용자 수와 시장규모가 2013년 기준 230만 명, 10억 달러에서 2020년 1200만 명, 62억 달러로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점산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자가용 승용차 보유자가 차량을 처분한 뒤 카셰어링을 이용할 경우 연간 309만 원을 절약할 수 있다”며 “카셰어링의 확산으로 기존 보유 차량을 처분하거나 차량 구매를 미루는 비율이 갈수록 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카셰어링 양강인 쏘카와 그린카의 지난해 매출합계는 668억 원이다. 90억 원을 기록한 2013년 매출보다 7배 이상 불어났다.
쏘카와 그린카는 카셰어링업계 1위 자리를 놓고 가열차게 경쟁을 벌이고 있다.
1위 업체인 쏘카는 전국 차고지 2650곳에 6800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그 뒤를 그린카가 차고지 2450곳과 차량 5300대로 바짝 쫓고 있다.
카셰어링사업은 초기 인프라구축이 사업의 성패를 좌우한다. 이번 공모는 차고지 900곳가량을 확보하는 것과 마찬가지인 만큼 주도적 사업자로 안착하는 데 중요할 수밖에 없다.
최근 실적 부진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씨티카 역시 이번 사업에 눈독을 들일 것으로 보인다.
|
|
|
▲ 이재용 쏘카 대표이사(왼쪽)와 이용호 그린카 대표이사. |
내연기관차와 전기차를 함께 이용하고 있는 쏘카나 그린카와 달리 씨티카는 전기차만 운영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기차 충전인프라 부족과 국내 전기차의 성능부실 등이 발목을 잡았다.
하지만 정부가 최근 전기차 지원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전기차로만 사업을 운영해온 시티카가 수혜를 볼 수 있다.
정부는 2017년까지 전기차 1만4천 대 보급을 목표로 2017년까지 급속충전기를 530기 추가 설치하기로 했다. 특례요금제도 도입해 2017년 1월부터 전기차 충전 요금이 50% 할인된다.
씨티카는 공공임대주택단지 진출 경험이 있다는 점에서도 우위를 점하고 있다. 씨티카는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의 매입형 공공임대주택에 지난해 11월부터 카셰어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LH는 2017년 3월 공모를 통해 사업자를 선정해 2017년 5월부터 카셰어링서비스를 확대 시행한다. LH 관계자는 “아직 정해진 사업자 선정기준은 없다”며 “이번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기준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