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8일 서울 LW컨벤션센터에서 각 시·도별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2025년 제1차 중앙·지방 탄녹위원장 소통 간담회'를 개최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탄녹위는 7일 서울 LW컨벤션센터에서 전국 17개 시·도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들과 ‘2025년 제1차 중앙·지방 탄녹위원장 소통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는 한화진 탄녹위 공동위원장과 17개 시·도 위원장과 담당과장, 환경부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지난해 수립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이행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중앙과 지방의 실질적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기후 상황, 국제 동향과 국내 여건, 제1기 위원회 성과 등을 바탕으로 제2기 위원회의 추진 전략 및 핵심 과제를 주제로 논의를 이어갔다. 핵심과제에는 국가 중장기 비전 제시, 정책 과제의 성과 가시화, 협업·소통 참여 강화, 컨트롤 타워 기능 보강 등이 포함됐다.
환경부는 제1차 시군구별 기본계획 수립현황, 제1차 시·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방향 및 지자체 탄소중립 지원 확대 계획 등을 발표했다.
각 지자체별 위원회는 올해 추진할 핵심 계획을 공유했다.
서울시는 건물 에너지 신고·등급 총량제 확대 시행, 제주도는 분산 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전라남도는 수송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남형 K-패스 등을 발표했다.
탄녹위는 “회의에 참석한 지자체별 위원회들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적극적으로 협업해야 국제사회와 약속한 탄소중립을 효과적으로 이행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고 전했다.
한화진 공동위원장은 “기후변화 대응 현장의 최전선은 지역사회”라며 “시·도 기본계획 이행에 다양한 어려움이 있지만 탄녹위는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정책의 컨트롤 타워로서 오늘 논의된 지역사회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유관 부처들과 긴밀히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