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임물관리위원회가 6일 조직개편안을 공개했다. 사진은 조직 개편 이후 조직도. <게임물관리위원회>
게임물관리위원회는 6일 사후관리 중심으로 조직개편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발표된 ‘게임산업 중장기계획’와 신임 위원장 부임이후 제시된 핵심 사업방향에 맞춰 사후관리 중심기관으로 조직을 개편한다.
우선 사후관리본부가 신설됐다.
위원회는 기존에 각 사업본부에 나누어져 있던 온라인게임물 사후관리 기능과 게임제공업소 사후관리 기능을 모아 사후관리본부 아래에 배치했다.
사후관리본부에서는 △오토․핵․대리게임․불법사설서버 등 온라인게임물 사후관리 △확률형아이템 정보공개표시 사후관리와 함께 △청소년게임장, 일반게임장, PC방 및 복합게임장 등 게임제공업소 사후관리를 담당한다.
위원회 측은 “중장기적으로 사후관리 중심기관으로 가기 위한 신임 위원장의 의지를 담았다”고 말했다.
또 게임 등급분류의 민간 이양을 준비하기 위한 개편도 이뤄졌다.
민간등급분류기관과 자체등급분류사업자 및 국제등급분류연합 지원기능을 한 조직으로 모아 조직간 소통․지원, 등급분류 업무의 효율성을 강화했다.
이를 위해 해당 업무를 담당하는 ‘등급지원본부’를 신설했다.
‘등급지원본부’에서는 △10개 자체등급분류사업자와 민간등급분류기관 및 국제등급분류연합 등과의 업무협력과 소통․지원 △등급분류 기준 정비 및 직권 등급재분류 △아케이드게임물 및 청불게임물 등급분류(민간등급분류 이양 이후, 사행성 게임물에 한정)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그 외에도 기존의 ‘민원교육센터’를 ‘소통교육센터’로 개편한다. 신임 위원장의 위원회 운영 핵심가치인 ‘소통’ 중심으로 대외 활동을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서태건 위원장은 “지난해 위원회가 가야 할 중장기 방향을 제시했다면 올해는 이번 조직개편을 통하여 민간등급분류 이양을 선제적으로 준비하고, 위원회가 명실 상부한 ’사후관리 중심기관’으로 나아가는데 큰 시발점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