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웨이저자 TSMC 회장이 현지시각으로 3월3일 백악관에서 미국 반도체 공장 증설 계획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TSMC가 이번 투자로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나 인텔과 협력 압박 등 정책적 불확실성을 일부 씻어낸 만큼 실적과 주가에 변수가 줄어들게 됐다는 분석도 제시됐다.
대만 공상시보는 5일 “TSMC의 미국 투자 발표가 나온 뒤 주가가 떨어진 것은 투자자들에 저가매수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증권가 관측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TSMC는 미국에 1천억 달러(약 145조 원)을 추가로 투자해 첨단 미세공정 반도체 생산을 늘리고 연구개발 센터도 새로 구축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모간스탠리는 보고서를 내고 TSMC의 이러한 발표가 충분히 예상되었던 수순이라고 평가했다.
미국 트럼프 정부가 TSMC에 반도체 수입관세 부과 압박, 인텔에 투자 및 협력 요구를 해왔던 것으로 전해진 만큼 이러한 대응책은 불가피했다는 것이다.
TSMC의 미국 투자 확대는 반도체 공장 건설 및 운영에 드는 비용 부담, 효율성 등 측면에서 불리한 선택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모간스탠리는 TSMC가 트럼프 정부와 갈등 요소를 대규모 투자로 해소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이를 긍정적 선택이라고 진단했다.
미국 내 반도체 파운드리 고객사들이 트럼프 정부 기조에 맞춰 미국에서 제조된 반도체 수요를 늘리려 하는 점도 투자에 유리한 요소로 지목됐다.
충분한 고객사 기반을 확보한 뒤 대규모 투자에 나서면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공상시보에 따르면 반도체 전문 분석가 뤼싱지는 TSMC가 이번 투자로 트럼프 정부에서 사실상 4년 동안의 ‘면제권’을 획득한 셈이라는 관측도 전했다.
트럼프 정부가 더 이상 TSMC에 무리한 요구를 내놓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동안 트럼프 정부는 TSMC가 인텔에 직접 자금을 투자해 공장을 인수하거나 합작법인을 설립해 반도체 기술을 공유하는 방안 등을 압박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최근 TSMC 주가에도 하방압력을 키우는 요소로 작용했다.
공상시보는 TSMC의 이번 투자로 인텔과 협력 관련한 변수는 사실상 일부 해결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모간스탠리는 TSMC의 미국 공장 증설이 순이익률에 미치는 영향도 2~3%포인트 안팎으로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을 덧붙였다.
TSMC가 이미 이러한 시나리오를 예측하고 대응하는 만큼 실적에 예상치 못한 악재를 안게 될 가능성은 낮다는 의미다.
모간스탠리는 “TSMC는 인공지능(AI) 및 첨단 미세공정 반도체 시장에서 지배력을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경쟁사 대비 우월한 기업가치도 유지될 수 있다”고 전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