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민의힘이 연금개혁과 관련해 야당이 요구하는 44% 선까지 수용 가능성을 열어두고 논의에 나설 것이라는 태도를 보였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24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더불어민주당과의 연금개혁 협의에 대해 "소득대체율 43∼44%를 두고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김상훈 연금개혁 수용 가능성 열어, "소득대체율 43∼44% 논의"

▲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더불어민주당과의 연금개혁 협의에 대해 "소득대체율 43∼44%를 두고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김 정책위의장은 “우리 당은 가능하면 이른 시간 내 합의를 도출해 연금개혁을 처리하면 좋겠다는 입장이다”고 설명했다.

소득대체율은 생애평균소득과 비교해 노후에 받을 수 있는 연금 수령액의 비율을 의미한다. 국민의힘은 소득대체율 42∼43%를 주장했다. 민주당에서는 44%를 제시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정부도 구태여 정부안(42%)을 고집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라며 “조만간 (여·야·정) 실무협의를 다시 개최해 합의안을 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구나 경제 상황에 따라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자동조정장치 도입에 대해서는 “다행히 민주당의 전향적 태도 변화가 있는 만큼 어떻게 도입하고 소득대체율을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해 융통성 있게 같이 합의하겠다”고 언급했다.

이어 “정부 입장도 자동조정장치가 도입된다면 소득대체율을 유연하게 협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며 “민주당은 자동조정장치에 대한 당내 의견, 우리는 44%에 대한 당내 의견을 수렴하고 다시 여야 간 협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회 승인 조건부 자동조정장치에 대해선 "국회 승인 절차가 삽입되면 '수동조정장치가 되지 않겠나'라는 생각이 들지만 자동조정장치에 대한 민주당의 부정적 입장을 고려하면 소득대체율과 함께 유연하게 논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