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지수가 2017년 4분기에 2300선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도널드 존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정책과 IT기업 주가의 강세 등이 코스피지수를 고점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 |
||
▲ 도널드 존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
코스피지수가 2017년 1900~2300 사이를 오갈 것으로 이 연구원은 바라봤다. 그는 상반기보다 하반기에 증시가 더욱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2017년 1월20일에 취임한 뒤 인프라에 1조 달러를 투자하는 등 재정확장정책을 펼치기로 하면서 국내증시도 상승세를 나타낼 것으로 이 연구원은 내다봤다.
미국의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이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에 힘입어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 전반에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국내증시는 2분기에 다시 떨어지면서 가격조정을 거칠 것으로 이 연구원은 바라봤다.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하는 시기를 전후해 투자자들의 기대에 따른 주가 상승이 한계점에 이를 수 있으며 물가상승과 관련된 주식의 차익실현 매물도 쏟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에서 물가상승률을 감안해 3~4월에 금리를 공격적으로 올릴 가능성도 잠재적인 악재로 꼽았다.
영국정부가 3월 안에 유럽연합의 시장에 접근할 창구를 남겨놓지 않고 탈퇴해 버리는 ‘하드 브렉시트’를 할 것으로 전망되는 점도 불안요인이다. 네덜란드 총선·프랑스 대통령 선거 등이 비슷한 시기에 겹치면서 정치적인 리스크가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이 새로운 성장동력인 IT기업의 주가 상승으로 연결되면서 국내증시가 4분기에 최대 2300선까지 오를 수 있다고 이 연구원은 예상했다.
IT기업은 코스피 상장기업의 전체 순이익 가운데 30%를 차지한다. 2017년에 영업이익이 올해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상장기업들 가운데 60%가량도 IT기업이다.
이 연구원은 “다음해 하반기에는 이익증가를 주도하는 IT와 소프트웨어 업종의 주가상승 계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시기적으로도 2017년 하반기에 5G 시범서비스가 시작되는 등 시장의 기대가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