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수출입은행이 반도체와 2차전지 등 공급망 활성화를 위해 최대 10조 원을 지원한다.
수출입은행은 13일 여의도 본점에서 2025년 공급망안정화기금을 지난해(5조 원)의 2배 수준인 10조 원 규모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기금운용계획을 의결했다.
이날 의결에 따라 수출입은행은 올해 첨단전략산업과 자원안보, 국민경제 필수재, 물류인프라 등에 공급망안정화기금 최대 10저 원을 중점적으로 투입한다.
세부분야별 맞춤형 지원방안도 마련한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중국의 저가공세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2차전지, 반도체소재기업 등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 소재 구매조건부 자금은 기업에 유리한 금리로 제공한다.
핵심광물 투자 촉진을 위해 출범하는 핵심광물 투자 협의회를 통해 최대 500억 원 수준의 민관 공동투자 등 금융 패키지 지원도 추진하기로 했다.
수출입은행 기금 관계자는 “최근 미국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정책 등 자국 우선주의 기조 강화로 글로벌 공급망 분절화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며 “기금은 첨단전략산업 등 한국 주력산업의 공급망 생태계 강화를 적극 지원해 경제 안전판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
수출입은행은 13일 여의도 본점에서 2025년 공급망안정화기금을 지난해(5조 원)의 2배 수준인 10조 원 규모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기금운용계획을 의결했다.
![수출입은행, 반도체·2차전지 포함 전략산업 공급망 활성화에 10조 지원](https://admin.businesspost.co.kr/news/photo/202502/20250213175130_79048.jpg)
▲ 한국수출입은행이 2025년 반도체와 2차전지 등 첨단전략산업을 중심으로 국내 산업 공급망 활성화를 위해 최대 10조 원의 기금을 지원한다.
이날 의결에 따라 수출입은행은 올해 첨단전략산업과 자원안보, 국민경제 필수재, 물류인프라 등에 공급망안정화기금 최대 10저 원을 중점적으로 투입한다.
세부분야별 맞춤형 지원방안도 마련한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중국의 저가공세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2차전지, 반도체소재기업 등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 소재 구매조건부 자금은 기업에 유리한 금리로 제공한다.
핵심광물 투자 촉진을 위해 출범하는 핵심광물 투자 협의회를 통해 최대 500억 원 수준의 민관 공동투자 등 금융 패키지 지원도 추진하기로 했다.
수출입은행 기금 관계자는 “최근 미국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정책 등 자국 우선주의 기조 강화로 글로벌 공급망 분절화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며 “기금은 첨단전략산업 등 한국 주력산업의 공급망 생태계 강화를 적극 지원해 경제 안전판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