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부동산규제 강화 움직임에도 내년에 서울 및 수도권 지역 주택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김열매 현대증권 연구원은 6일 “주택시장 환경에서 앞으로 중요한 변수는 정부정책”이라며 “시장이 정부가 규제를 강화하느냐 완화하느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파악했다.
|
|
|
▲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 |
정부는 올해 들어 8.25 가계부채 대책과 11.3 부동산 대책을 내놓으며 주택시장에 대한 규제에 나서고 있다. 이에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둔화하고 주택건설사들의 주가가 하락하는 등 시장에 영향이 나타난다.
여기에 미국 트럼프 정부 등장으로 금리인상이 유력해지면서 앞으로 주택시장이 급격히 위축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김 연구원은 “정부는 금융위기 이후 8년간 지속적으로 주택시장 활성화를 이끌어 왔는데 정책방향을 전환했다”며 “주택시장 참여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킬만한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김 연구원은 “대선 일정을 예측할 수 없을 만큼 정책 불확실성이 큰 시점”이라면서도 정부정책이 강력한 부동산 규제까지 이르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 연구원은 “최근 정부정책은 주택시장에서 투기 수요를 배제해 급격한 상승가능성을 막겠다는 것”이라며 “정책의 내용이 아직까지 신규분양시장에 국한돼 있다”고 판단했다.
김 연구원은 “과거 가장 강력한 부동산 규제는 주택담보인정비율(LTV) 강화인데 현재 LTV를 강화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예상했다.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의 70%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LTV 규제가 전세가 비율보다 강화되면 보증금을 반환할 수 없는 시장 리스크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LTV를 강화한다 해도 서울 강남 4구 정도 국한될 것이며 추가적인 집값 상승이 급격하게 나타날 경우에야 논의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결과적으로 김 연구원은 주택시장에 대한 우려가 과도하며 내년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다시 올라갈 것으로 예상했다. 전세난이 여전하며 서울 아파트 공급도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서울 아파트 공급이 부족해 전세난은 불가피하다”며 “내년 봄 이사철이면 월세에 저항하는 실수요자들이 전세에서 매매로 전환하는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현재 주택시장 상황은 정부 정책 효과 때문에 단기적으로 위축됐다”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지만 근본적으로 전세난이 해소되지 않으면 서울 및 수도권 주택가격은 다시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건설업종 주택부문의 실적 성장성은 내년도에 더욱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