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IBK투자증권은 12일 CJ제일제당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지만, 본업(식품) 부진이 아쉬웠다고 바라봤다.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CJ제일제당의 지난해 4분기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2.8% 늘어난 7조4902억 원, 영업이익은 26.5% 증가한 3773억 원으로 낮아진 시장기대치(매출액 7조5029억 원, 영업이익 3874억 원)와 추정치(매출액 7조5011억 원, 영업이익 3726억 원)에 대체로 부합했다”라고 밝혔다.
김태현 연구원은 “올해도 내수 소비 둔화로 식품 사업 환경이 녹록치 않겠지만, 바이오와 F&B 부문 성장으로 전사 실적 개선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부문별로, 지난해 4분기 식품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2.8% 늘어난 2조8443억 원, 영업이익은 3.8% 줄어든 1384억 원을 기록했다”라며 “매출은 예상 수준이었으며, 영업이익은 미주 디저트 단기 생산 차질 등에 따른 고정비 부담 등으로 추정치(1530억 원) 대비 약 10% 하회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내 매출이 3개 분기 연속 감소한 가운데, 미주, 유럽 등 해외에서 견조한 매출 성장세 이어진 점은 고무적”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지난해 4분기 바이오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2.3% 늘어난 1조621억 원, 영업이익은 2.8% 증가한 584억 원으로 매출은 부합했지만 영업이익은 약 6% 하회했다”라며 “이는 중국 내수 부진, 시장 공급 증가 등에 따른 핵산 판매가격 약세 등에 기인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4분기 F&C 부문은 사료 판매량 감소로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2.1% 하락했지만 예상 수준이었다”라며 “반면 인니 육계가 등 축산가 안정화 및 제조 원가 개선으로 영업이익은 231억원 흑자전환, 추정치(105억 원)를 대폭 상회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CJ제일제당의 올해 연결 매출액은 전년대비 4.3% 늘어난 30조6096억 원, 영업이익은 11.4% 증가한 1조7305억 원으로 전망된다”라며 “식품 부문 수익성 개선 기대감은 제한적이지만, F&C(견조한 축산 가격)와 바이오 부문(대형 아미노산 시황 회복)의 이익 성장 흐름은 이어지겠다”고 전망했다. 장원수 기자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CJ제일제당의 지난해 4분기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2.8% 늘어난 7조4902억 원, 영업이익은 26.5% 증가한 3773억 원으로 낮아진 시장기대치(매출액 7조5029억 원, 영업이익 3874억 원)와 추정치(매출액 7조5011억 원, 영업이익 3726억 원)에 대체로 부합했다”라고 밝혔다.
![IBK투자 "CJ제일제당 올해 성장 흐름 이어질 전망, 기대감은 크지 않아"](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502/20250212150454_16430.jpg)
▲ CJ제일제당의 지난해 4분기 F&C는 기대 이상의 이익성장을 보인 반면에, 식품과 바이오는 아쉬운 실적을 기록했다. < CJ제일제당>
김태현 연구원은 “올해도 내수 소비 둔화로 식품 사업 환경이 녹록치 않겠지만, 바이오와 F&B 부문 성장으로 전사 실적 개선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부문별로, 지난해 4분기 식품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2.8% 늘어난 2조8443억 원, 영업이익은 3.8% 줄어든 1384억 원을 기록했다”라며 “매출은 예상 수준이었으며, 영업이익은 미주 디저트 단기 생산 차질 등에 따른 고정비 부담 등으로 추정치(1530억 원) 대비 약 10% 하회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내 매출이 3개 분기 연속 감소한 가운데, 미주, 유럽 등 해외에서 견조한 매출 성장세 이어진 점은 고무적”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지난해 4분기 바이오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2.3% 늘어난 1조621억 원, 영업이익은 2.8% 증가한 584억 원으로 매출은 부합했지만 영업이익은 약 6% 하회했다”라며 “이는 중국 내수 부진, 시장 공급 증가 등에 따른 핵산 판매가격 약세 등에 기인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4분기 F&C 부문은 사료 판매량 감소로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2.1% 하락했지만 예상 수준이었다”라며 “반면 인니 육계가 등 축산가 안정화 및 제조 원가 개선으로 영업이익은 231억원 흑자전환, 추정치(105억 원)를 대폭 상회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CJ제일제당의 올해 연결 매출액은 전년대비 4.3% 늘어난 30조6096억 원, 영업이익은 11.4% 증가한 1조7305억 원으로 전망된다”라며 “식품 부문 수익성 개선 기대감은 제한적이지만, F&C(견조한 축산 가격)와 바이오 부문(대형 아미노산 시황 회복)의 이익 성장 흐름은 이어지겠다”고 전망했다. 장원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