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윤석열 대통령이 자신이 직접 비상계엄 당시 비상군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투입을 지시했으며 계엄 전 국무위원들에게 계엄해제 계획을 설명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4일 오후 서울 재동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출석해 “지난해 비상계엄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으로의 계엄군 투입을 제가 직접 지시했다”고 밝혔다. 
 
윤석열 "계엄 당시 선관위에 군 투입 내가 직접 지시" "국무위원에 경고성 계엄 성격 안 알려"

▲ 윤석열 대통령(앞줄 왼쪽)이 4일 오후 서울 재동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1월29일~30일경 김용현 국방부 장관에게 계엄 선포에 관해 대화하면서 “범죄 수사 개념이 아니라 국가정보원이 다 보지 못했던 선관위 전산 시스템과 가동 방식을 스크린 하라고 지시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검사로 재직하던 시절부터 부정선거가 있을 것이라는 추측을 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검찰에 있을 때부터 선거 사건, 선거 소송에 대해 보고를 받아보면 투표함을 열어봤을 때 여러 가지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가는 엉터리 투표지들이 많이 나왔기 때문에 부정선거 문제가 있겠다고 생각해왔다”며 “국정원으로부터 선관위 시스템 점검 내역을 5% 정도 보고 받았는데 부실하고 엉터리였다”고 전했다.

그는 “제가 내린 지시는 장비가 어떤 시스템으로 가동되는지 보라는 것이었다”며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어떤 소프트웨어나 콘텐츠도 압수한 것이 전혀 없다고 보고받았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 전 국무위원들에게 이번 계엄이 ‘경고성 계엄’이라는 사실을 말하지는 않았다고 진술했다.

윤 대통령은 “김 장관에게 얘기할 때는 계엄의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이고 국회 해제 결의가 있으면 즉시 해제할 것이라고 얘기했지만 이는 국무위원들에게 계엄 전에는 설명할 수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방부 장관도 지휘관 및 사령관들에게 이 계엄의 해제계획이나 군 투입 규모가 적다는 등의 언급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자 정해진 매뉴얼대로 일을 하다 보니 저나 장관이 생각한 것 이상의 어떤 조치를 준비했을 수는 있다”고 덧붙였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