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앞으로 코레일의 전국 호환 교통카드도 ‘K-패스’에 등록해 대중교통비를 돌려받을 수 있다.
코레일은 3일부터 ‘모바일 레일플러스’에 정부 대중교통비 환급지원 사업 ‘K-패스’를 연결해 이용요금을 추가환급 받을 수 있다고 2일 밝혔다.
모바일 레일플러스는 실물 카드 없이도 모바일 앱을 통해 대중교통과 기차표 예매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코레일의 전국 호환 교통카드다.
모바일 레일플러스 이용객도 K-패스 앱이나 홈페이지에 카드 번호를 등록해 대중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사용하면 교통비의 20~53%를 최대 60회분까지 적립해 다음 달 충전 쿠폰으로 환급받는다. 적립률은 일반(만 35세 이상) 20%, 청년(만 19~34세) 30%, 저소득층 53% 등으로 나뉜다.
코레일은 신규 가입자를 대상으로 이벤트도 진행한다. 2월 한달 동안 모바일 레일플러스로 K-패스를 이용하는 고객 750명을 추첨해 수도권 전철 50주년 카드 앨범과 텀블러 등의 경품을 지급한다. 김환 기자
코레일은 3일부터 ‘모바일 레일플러스’에 정부 대중교통비 환급지원 사업 ‘K-패스’를 연결해 이용요금을 추가환급 받을 수 있다고 2일 밝혔다.
▲ 앞으로 코레일의 전국 호환 교통카드도 ‘K-패스’에 등록해 대중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다.
모바일 레일플러스는 실물 카드 없이도 모바일 앱을 통해 대중교통과 기차표 예매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코레일의 전국 호환 교통카드다.
모바일 레일플러스 이용객도 K-패스 앱이나 홈페이지에 카드 번호를 등록해 대중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사용하면 교통비의 20~53%를 최대 60회분까지 적립해 다음 달 충전 쿠폰으로 환급받는다. 적립률은 일반(만 35세 이상) 20%, 청년(만 19~34세) 30%, 저소득층 53% 등으로 나뉜다.
코레일은 신규 가입자를 대상으로 이벤트도 진행한다. 2월 한달 동안 모바일 레일플러스로 K-패스를 이용하는 고객 750명을 추첨해 수도권 전철 50주년 카드 앨범과 텀블러 등의 경품을 지급한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