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2023년도 약품비 증가율이 전체 진료비 증가율의 2배가량인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은 2023년 급여 의약품 지출 현황을 분석해 보니 약품비가 모두 합쳐 26조1966억 원으로 전년 대비 8.5%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2023년 전체 진료비는 110조8029억 원으로 전년 대비 4.7% 증가했다. 이에 따라 진료비 가운데 약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보다 0.8%포인트 오른 23.6%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과 비교해 봐도 높은 의약품 지출 비중을 보이고 있다.
2024년 8월 발표된 OECD 보건 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경상의료비 가운데 의약품 지출 비율은 18.0%로 OECD 평균 14.2%보다 3.8%포인트 높았다. 순위로 따지면 멕시코(21.0%)에 이어 7위에 해당한다.
대한민국의 약품비 비중이 높아진 것은 정부가 국민건강보험종합계획에 따라 약제비 부담이 큰 암, 희귀질환치료제의 건강보험 적용을 확대하는 동시에 치료에 필요한 필수의약품의 약제 급여를 추진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가 국민 생명과 직결된 필수 의약품 급여를 지속 확대함에 따라 암 및 희귀난치질환자 치료에 사용한 급여 약품비는 2023년 기준으로 각각 3조8402억 원, 2조5492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2022년과 비교하면 각각 10.8%, 9.7% 오른 것이다.
약품비 사용 현황을 연령대로 살펴보면 60대 환자의 약품비가 6조6천억 원(25.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70대 5조2천억 원 △50대 4조4천억 원 △80대 3조1천억 원이었다. 전체 약품비에서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을 계산하면 58.1%로 절반이 넘었다.
요양기관을 기준으로는 약국의 청구액이 18조 원으로 68.9%를 차지했다. 그 뒤로 상급종합병원 3조8천억 원, 종합병원 2조2천억 원, 의원 1조1천억 원 순이다.
효능군에서는 인구고령화와 서구화된 식습관 등의 영향으로 고지혈증치료제로 사용되는 동맥경화용제가 2조8490억 원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성분군 기준으로 살펴봤을 때도 고지혈증치료제 성분인 '에제티미브+로수바스타틴' 복합제가 6058억 원으로 1위를 기록했다.
건보공단 관계자는 “고가 항암제와 유전자 치료제 등 신약의 급여 등재와 기준 확대, 인구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약품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보장성을 높이되 오남용되거나 불필요하게 처방되는 의약품 분석을 확대하고 관리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홍준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은 2023년 급여 의약품 지출 현황을 분석해 보니 약품비가 모두 합쳐 26조1966억 원으로 전년 대비 8.5%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 국민건강보험공단이 16일 2023년 금여 의약품 지출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2023년 전체 진료비는 110조8029억 원으로 전년 대비 4.7% 증가했다. 이에 따라 진료비 가운데 약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보다 0.8%포인트 오른 23.6%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과 비교해 봐도 높은 의약품 지출 비중을 보이고 있다.
2024년 8월 발표된 OECD 보건 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경상의료비 가운데 의약품 지출 비율은 18.0%로 OECD 평균 14.2%보다 3.8%포인트 높았다. 순위로 따지면 멕시코(21.0%)에 이어 7위에 해당한다.
대한민국의 약품비 비중이 높아진 것은 정부가 국민건강보험종합계획에 따라 약제비 부담이 큰 암, 희귀질환치료제의 건강보험 적용을 확대하는 동시에 치료에 필요한 필수의약품의 약제 급여를 추진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가 국민 생명과 직결된 필수 의약품 급여를 지속 확대함에 따라 암 및 희귀난치질환자 치료에 사용한 급여 약품비는 2023년 기준으로 각각 3조8402억 원, 2조5492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2022년과 비교하면 각각 10.8%, 9.7% 오른 것이다.
약품비 사용 현황을 연령대로 살펴보면 60대 환자의 약품비가 6조6천억 원(25.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70대 5조2천억 원 △50대 4조4천억 원 △80대 3조1천억 원이었다. 전체 약품비에서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을 계산하면 58.1%로 절반이 넘었다.
요양기관을 기준으로는 약국의 청구액이 18조 원으로 68.9%를 차지했다. 그 뒤로 상급종합병원 3조8천억 원, 종합병원 2조2천억 원, 의원 1조1천억 원 순이다.
효능군에서는 인구고령화와 서구화된 식습관 등의 영향으로 고지혈증치료제로 사용되는 동맥경화용제가 2조8490억 원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성분군 기준으로 살펴봤을 때도 고지혈증치료제 성분인 '에제티미브+로수바스타틴' 복합제가 6058억 원으로 1위를 기록했다.
건보공단 관계자는 “고가 항암제와 유전자 치료제 등 신약의 급여 등재와 기준 확대, 인구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약품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보장성을 높이되 오남용되거나 불필요하게 처방되는 의약품 분석을 확대하고 관리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홍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