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민의힘 지지율이 처음으로 반등하면서 더불어민주당과 격차를 줄였다.
미디어토마토가 2일 발표한 정기 여론조사에서 정당지지율은 민주당 47.8%, 국민의힘 30.4%,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5%, 진보당 1.2%로 집계됐다.
'그 외 다른 정당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1.9%, '지지정당이 없다'는 응답은 9.7%,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0.4%로 조사됐다.
민주당 지지율은 2주 전과 비교해 2.6%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국민의힘 지지율은 30.4%로 4.6%포인트 상승했다.
두 당 사이 격차는 2주전 24.6%포인트에서 이번 주 17.4%포인트트로 줄어들었다.
조국혁신당은 지난 조사에서 5.5%를 보였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5.2%로 하라하면서 창당 이후 최저 지지율을 보였다.
개혁신당 지지율은 기존 4.3%에서 3.5%로 떨어졌고 진보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와 같은 1.2%를 나타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민주당이 수도권과 호남에서 앞서는 모습을 나타냈다. 서울 민주당 45.6% 대 국민의힘 33.6%, 경기·인천 민주당 54.2% 대 국민의힘 26.5%, 광주·전라 민주당 54.4% 대 국민의힘 21.7%, 강원·제주 민주당 48.9% 대 국민의힘 30.1%의 지지율을 보였다.
특징적으로 보수진영의 핵심기반인 대구·경북에서 민주당이 42.7% 대 국민의힘 38.1%로 민주당이 국민의힘과 팽팽한 지지율을 나타냈다.
이외에 대전·충청·세종 민주당 40.7% 대 국민의힘 33.0%, 부산·울산·경남 민주당 40.4% 대 국민의힘 33.7%의 지지세를 보였다.
이번 조사는 뉴스토마토의 의뢰로 2024년 12월30일부터 31일까지 이틀간 만 18세 이상 전국 성인남녀 103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포인트다.
자동응답(ARS) 방식의 무선전화 임의걸기(RDD)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3.4%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2024년 8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기준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치(셀가중)가 적용됐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조장우 기자
미디어토마토가 2일 발표한 정기 여론조사에서 정당지지율은 민주당 47.8%, 국민의힘 30.4%,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5%, 진보당 1.2%로 집계됐다.
▲ 더불어민주당 로고와 국민의힘 로고 모습.
'그 외 다른 정당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1.9%, '지지정당이 없다'는 응답은 9.7%,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0.4%로 조사됐다.
민주당 지지율은 2주 전과 비교해 2.6%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국민의힘 지지율은 30.4%로 4.6%포인트 상승했다.
두 당 사이 격차는 2주전 24.6%포인트에서 이번 주 17.4%포인트트로 줄어들었다.
조국혁신당은 지난 조사에서 5.5%를 보였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5.2%로 하라하면서 창당 이후 최저 지지율을 보였다.
개혁신당 지지율은 기존 4.3%에서 3.5%로 떨어졌고 진보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와 같은 1.2%를 나타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민주당이 수도권과 호남에서 앞서는 모습을 나타냈다. 서울 민주당 45.6% 대 국민의힘 33.6%, 경기·인천 민주당 54.2% 대 국민의힘 26.5%, 광주·전라 민주당 54.4% 대 국민의힘 21.7%, 강원·제주 민주당 48.9% 대 국민의힘 30.1%의 지지율을 보였다.
특징적으로 보수진영의 핵심기반인 대구·경북에서 민주당이 42.7% 대 국민의힘 38.1%로 민주당이 국민의힘과 팽팽한 지지율을 나타냈다.
이외에 대전·충청·세종 민주당 40.7% 대 국민의힘 33.0%, 부산·울산·경남 민주당 40.4% 대 국민의힘 33.7%의 지지세를 보였다.
이번 조사는 뉴스토마토의 의뢰로 2024년 12월30일부터 31일까지 이틀간 만 18세 이상 전국 성인남녀 103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포인트다.
자동응답(ARS) 방식의 무선전화 임의걸기(RDD)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3.4%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2024년 8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기준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치(셀가중)가 적용됐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조장우 기자